벤처기업은 자금외에도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 적지않다.

벤처캐피털(VC)회사나 정부경제단체 등에서 금융 외적으로 지원해줄
때 벤처기업의 성공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벤처기업 및 기업인 스스로도 건전한 벤처정신과 능력을 키워야 함은
물론이다.

금융외적 지원은 우선 제도개선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벤처기업이 목표로 삼는 것이 코스닥시장 등록 및 거래소 상장인 만큼
공개요건을 대폭 완화하는 쪽으로 규정을 고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와 같은 기업공개 여건에서 우수 중소기업들도 직접 금융을 활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납입자본금 이익률 매출액 등 상장요건을 대폭 줄이거나 완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미국 장외시장인 나스닥이 증시보다 더 활기를 띠는 것은 연간 3백여개의
벤처기업이 신규로 등록되기 때문이란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최근 통산부가 발표한 중기.벤처전용의 3부시장이 현실화된다해도 연간
등록업체가 수십개에 머무르면 벤처기업 활성화에 큰 기여를 못한다는 것이
업계의 지적이다.

벤처업계 관계자들이 우선 코스닥부터 활성화시킬 방안을 찾으라고
주문하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이번 통산부 발표에서 빠진 "주식액면가"제도도 벤처업계가 강하게 개선을
요구하는 부분이다.

미국처럼 주식을 무액면화하는 것이 적은 자본으로도 많은 주식을 발행할
수 있어 벤처창업 진작에 보탬이 된다는 주장이다.

보다 근원적으로는 3원화돼있는 벤처관련 법안을 일원화하는 것도 적극
검토해봐야 한다.

벤처산업 관련법이 창업지원법 신기술사업금융관계법 한국종합기술금융법
으로 3원화돼 있다보니 관계 부처간 견제와 알력으로 불협화음이 그치질
않고 있다.

재경원과 통산부(중기청)등에서 일방적으로 정책안을 내놓는 경우가
많아 벤처기업들은 어느 장단에 맞추어야할지 어리둥절할 때가 많다고
호소한다.

벤처기업들은 금융외에 국내외 시장정보, 기술개발전략 수립, 재무관리
기법 등에서도 측면지원을 바라고 있다.

벤처캐피털이나 대기업 지자체등에서 이런 지원을 할수 있을 것이다.

정부의 할일도 적지않다.

가령 벤처기업에서 생산한 제품을 국영기업체에서 채택해주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정부가 적극 추진해볼만한 일이다.

벤처기업인들은 이점에 대해 종종 불평을 털어놓곤 한다.

즉 대기업들이 자사가 수입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벤처기업의 수입대체
연구활동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다.

통산부에서 이런 민원을 취급하는 부서를 만들어 고충의 진실여부를
가려내고 시정토록 해야한다.

그러나 경영의 주체는 기업가이기 때문에 기업가의 자질과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선행과제로 꼽힌다.

대개 벤처기업의 대표는 기술자이거나 기술의 소유자이다.

높은 기술은 기업의 성공요인은 되지만 성공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어떤 기업이건 기술력을 바탕으로한 경영노하우가 있어야 성공하는
것이다.

만약 기업가가 자기의 뛰어난 기술만 믿고 경영노하우의 중요성을
무시하면 그기업은 부도가 나거나 부실화될 공산이 크다.

성공한 벤처기업들을 보면 대개 휼륭한 조직을 갖추고 있다.

창업은 개인이 할수 있지만 성장 발전하는 것은 조직의 힘에 의해
이뤄진다.

우수한 사람들로 조직이 만들어지려면 훌륭한 리더십이 우선 갖춰져야
한다.

벤처기업인은 강한 사업추진력도 갖춰야 한다.

그사업에 배수진을 치고 전력투구해야 하는 것이다.

만약 기업인이 "밑져야 본전"이란 자세로 기업을 운영하거나 취미삼아
벤처기업을 설립한다면 이내 망하고 말 것이다.

결국 벤처캐피털 정부 지역경제단체등 모든 경제주체들이 벤처 활성화에
대한 실질적인 공감대를 갖고 유기적인 협력.지원시스템을 갖출때 벤처산업은
21세기 한국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수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 문병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