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장의 사용은 원래 동양에서 비롯되었다.

그 역사를 태초로 거슬러 올라 간다.

가량 오래된 기록은 "삼국유사"의 고조선조에 나온다.

환인이 그의 아들 환웅에게 천하를 다스리라고 천부인 세개를 주었다는
내용이다.

중국 또한 상주때부터 새라 불리는 인장을 신빙의 도구로 사용했다.

그뒤 여나라때부터는 신분의 고하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했다.

청조에는 천자를 포함한 왕후의 인장을 새라 칭했다.

시황제에 이르러서는 천자의 것만을 새라 했고 옥으로 만든다하여 옥새라
했다.

신하의 것은 지위에 따라 규격을 달리하여 장과 인으로 구별했다.

당나라 측천무후는 "새"의 음이 "사"와 같다하여 보로 이름을 고쳤다.

청대에는 그 구분이 더욱 복잡해 졌다.

군왕 이상의 것은 보, 그 이하 관리의 것은 인, 하급관리의 것은 도기
또는 남인, 서민의 것은 도장 소인 또는 물인으로 지칭되었다.

한편 한국에서도 오랜 옛날부터 서류에 인장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삼국유사"에 나온다.

고려 성종대 토지측량을 맡은 관리인 양전사가 병사하여 김수로왕능묘에
소속된 전답의 토지대장에 인장이 찍히지 않았다는 기록이다.

고려때의 인장은 대부분 동인이었다.

조선조에 들어 완전 관인과 사인으로 구분되어 사용되었고 관인은 모두가
동인 대지른 철인이었다.

왕의 인장은 고려 이래 "새"가 아닌 "인"이었다.

"고려국왕지인" "조선국왕지인"이었다.

조선조 성종 이후에 교지나 교서 통신문서등에 사용된 인장에 "보"라는
망침이 붙여지기도 했으나 왕의 대외문서용 인장에 "새"라는 명칭이 등장된
것은 대한제국 성립때였다.

"대한국새" "황제어새" 등이다.

인장은 원래 권력의 신표로 탄생되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재산 소유의
징표가 되었다.

"돈은 빌려 줘도 도장은 빌려 주지 않는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다.

인장은 빌려 주는 것은 자신의 모든 것을 내주는 것이나 다름없다는
의식이 뿌리 내려져 있었다.

전통사회가 자본주의체제로 이행된 뒤 재산소유관계가 복잡해 지면서
인장의 중요성은 그 어느 시대보다 높아졌다.

사람치고 인장을 갖지 않을 수 없는 현실이다 보이 자연히 인장업도
성업을 누릴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인장업을 하던 한 장애인이 서방과 전자결개시스템이 보편화되면서
일거리가 줄자 폐업한 뒤 이를 비관한 나머지 자살을 했다고 한다.

수천년에 절세 꽃피워진 동양의 인장문화에 조종을 울려주는 예고가
아닐까.

(한국경제신문 1996년 3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