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대선후보의 선거대책위원회 참여 인사 면면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이 돕는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한다면 차기 정부를 이끌 주역이기 때문이다. 한경 보도(4월22일자 A1, 8, 9면)에 따르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공식 발표한 선대위 참여 인원만 430여명에 달한다. 비공식적으로 돕는 전문가들을 포함하면 1000명이 훌쩍 넘을 것이라고 한다. 진보·보수를 망라하는 매머드급이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외곽 자문그룹까지 포함해 600~700명 되는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고 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캠프도 외곽조직까지 합하면 수백명에 이른다. 유승민 바른정당, 심상정 정의당 후보도 각각 당 안팎 인사 100여명이 선대위에서 활약하고 있다.

유권자는 이들이 어떤 사람인지 관심을 두고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제왕적’이라고 하지만 대통령이 모든 일을 다 하기엔 한계가 있다. 더군다나 이번엔 선거가 끝나자마자 당선인이 곧바로 대통령에 취임해 국정운영을 시작해야 한다. 선거 뒤 두 달여간 인수위원회를 가동해 공약을 재조정하는 과정을 거쳤던 역대 정부와 다르다. 이번엔 내각 구성조차 안 된 상황에서 국정에 임해야 하기 때문에 대통령이 캠프 참모들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선대위에 참여한 주요인사들은 청와대와 정부의 주요직위를 맡아 차기 정부 정책의 밑그림을 그리는 일 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현안까지 챙길 가능성이 크다. 공약 못지않게 이들의 정책적, 이념적 성향을 꼼꼼히 짚어봐야 할 이유다.

우려스런 것은 유력 후보가 유세 등을 통해 내놓는 정책방향과 선대위 캠프 인사들의 성향과 면면이 상반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안철수 후보는 “경제성장의 주체는 민간과 기업”이라며 시장을 존중하겠다고 했지만 선대위엔 재벌해체론자와 경제민주화론자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문재인 후보 선대위엔 보수-진보 인사들이 혼재해 정책의 정체성에 대한 의구심을 낳고 있다. 선거 때마다 진영을 오간 인사도 있어 철학과 원칙이 무엇인지도 궁금증을 자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