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순실 특검팀 대치동에 사무실 > ‘최순실 국정 농단 의혹’을 수사할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임차해 사용할 예정인 서울 강남구 대치동 D빌딩(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인 특검팀은 20층 규모인 이 건물 3개 층을 사용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 최순실 특검팀 대치동에 사무실 > ‘최순실 국정 농단 의혹’을 수사할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임차해 사용할 예정인 서울 강남구 대치동 D빌딩(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인 특검팀은 20층 규모인 이 건물 3개 층을 사용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최순실 국정농단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청문회가 6일 열린다. 증인으로 채택된 9개 그룹 총수들이 각종 의혹에 어떻게 답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삼성 롯데 SK CJ 등 4개 그룹을 둘러싼 공방이 치열할 전망이다. 4개 그룹을 중심으로 그룹별 쟁점과 해명을 짚어봤다.

◆‘삼성 합병’ 찬성에 대가 있었나

작년 7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당시 국민연금의 찬성과 삼성 측의 최순실 씨 측 지원 사이에 모종의 거래가 있었는지가 핵심 쟁점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작년 7월25일 박근혜 대통령과 독대했다. 삼성 측은 “독대 전에 이미 합병(주주총회 7월17일)이 끝났다”며 “시점상 의혹은 말이 안 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삼성이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과 별개로 작년 9월 이후 최씨 측 비덱스포츠, 말 구입, 스포츠센터 등에 94억원을 지원한 배경도 논란이다. 삼성은 승마협회 회장사 자격으로 송금했으며 이 과정에서 최씨 측의 ‘협박’도 있었다고 밝히고 있다.
18명 특위위원 질문만 4시간30분…"총수들 무작정 대기해야 하나"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비율이 불공정하다는 의혹도 다시 도마에 오를 수 있다. 삼성은 지난해 법원이 ‘합병 비율이 불공정하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강조하고 있다. 합병 결의 시점(5월26일)이 오너 측에 유리하다는 지적에는 건설업황 악화로 삼성물산의 기업가치가 하락하고 있던 점을 감안할 때 합병 시점을 바꿨더라도 합병 비율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국민연금이 의결권 행사 전문위원회를 거치지 않고 투자위원회 결정으로 합병에 찬성한 배경도 논란이다. 국민연금은 그해 6월 (주)SK와 SK C&C 합병 때는 의결권행사 전문위에 찬반 의견을 물었다. 국민연금은 “찬반은 투자위가 결정하는 게 원칙이고 투자위 판단이 힘들 때만 의결권 행사 전문위에 문의한다”고 밝히고 있다.

◆롯데, 면세점 추가 발표 의혹

롯데는 지난 3월 중순 신동빈 회장과 박 대통령 독대 이후 정부의 면세점 추가 선정 발표가 이뤄진 배경이 쟁점이다. 하지만 롯데는 3월 초 이미 시내면세점 추가 선정 가능성이 언론에 보도됐다고 강조하고 있다. 작년 11월 면세점 특허 갱신에 실패한 뒤 실업 문제 등이 불거지며 면세점 추가 선정 필요성이 공론화됐다는 설명이다.

롯데가 지난 5월 K스포츠재단에 별도로 70억원을 냈다가 검찰 수사 하루 전 돌려받은 경위도 관심이다. 롯데는 애초 요청받은 75억원을 35억원으로 낮추려고 2개월가량 협상한 점을 들어 ‘뇌물이라면 그런 식의 협상이 가능했겠느냐’는 논리를 펴고 있다.

◆SK, 최태원 회장 사면 배경은

SK그룹은 작년 8월 최태원 회장 사면과 그해 말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111억원)에 대가성이 있었는지가 쟁점이다. SK는 재단에 낸 돈은 대기업 간 모금 분담 비율(삼성 2, 현대차 1.2, SK 1, LG 0.8)에 따라 낸 것일 뿐 최 회장 사면과 무관하다고 해명하고 있다. 최 회장과 박 대통령이 지난 2월 독대한 뒤 K스포츠재단 측에서 별도로 80억원을 요청하고 이후 면세점 추가 선정 계획이 발표된 대목도 의혹이 제기되는 지점이다. SK는 결국 요청받은 돈을 내지 않았다고 반박하고 있다.

◆CJ, 이미경 부회장 퇴진 이유는

CJ는 손경식 회장이 작년 7월 박 대통령과 독대에서 이재현 회장 사면을 부탁했는지와 이미경 부회장에 대한 청와대의 퇴진 압박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CJ 측은 손 회장의 부탁은 외조카(이 회장)에 대한 선처를 부탁했을 뿐 대가성이 없었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부회장 퇴진 압박의 경우 조원동 전 청와대 경제수석을 통해 내용을 확인했지만 대통령의 뜻인지는 몰랐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 밖에 현대자동차그룹은 정몽구 회장과 박 대통령 독대 후 정유라 씨 친구 부친 회사에 10억원의 일감을 준 일 등이 쟁점이다. 한화그룹은 김승연 회장의 사면 로비 의혹을 받고 있고, 한진그룹은 조양호 회장의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 강제 사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