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산공원에서 바라본 자금성의 모습. 자금성 너머에 톈안먼과 창안제가 있다.
징산공원에서 바라본 자금성의 모습. 자금성 너머에 톈안먼과 창안제가 있다.
가시가 많은 꽃, 엉겅퀴의 고장이었던 모양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인 베이징(北京) 말이다. 중국의 곳곳에는 아주 많은 사람이, 아주 오랜 세월에 걸쳐 머물고 쌓은 흔적이 뚜렷하다. 중국 수도 베이징이 역사에서 드러내는 첫 이름은 아무튼 가시가 많이 달려 쉽게 넘보기 어려운 꽃, 엉겅퀴와 함께 등장한다.

[유광종의 '중국 인문기행' (1) 베이징'] 넘보기 어려운 엉겅퀴 같은 도시
한자 이름은 계()다. 엉겅퀴를 지칭하는 글자다. 역사 무대 초입에서 베이징은 이 글자를 이름으로 삼아 등장했다. 중국 문명의 이른 아침이랄 수 있는 춘추시대 때다. 엉겅퀴라는 식생이 아무래도 이곳을 장식한 대표적 식물이었을지 모른다.

엉겅퀴의 꽃말은 그리 가볍지 않다. 가시가 많이 달려 범접하기 어려웠기 때문인지, ‘엄격함’ ‘독립’ 등의 딱딱한 어감을 지닌다. 이 밖에도 베이징의 북면을 가로지르는 산맥, 연산(燕山)과 그를 토대로 삼아 존재한 연(燕)나라가 있었던 까닭에 연경(燕京)이라고 한 기록도 눈에 띈다.

아울러 유주(幽州), 원나라 때의 대도(大都), 경성(京城), 경사(京師) 등의 이름이 제법 줄을 잇는다. 그러나 베이징의 인문적 속성을 잘 말해주는 이름으로는 엉겅퀴가 우선 적격이다. 새 사회주의 중국이 들어서기 전까지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의 권력 중심인 황제가 살았던 곳이기 때문이다.

자금성 황도가 베이징 중심

명과 청의 황궁은 자금성(紫禁城)으로 적는다. 별자리의 가장 고귀한 존재인 자미성(紫微星)의 앞 글자와 일반인의 출입을 금지(禁止)하는 의미의 글자가 붙었다. 지상의 최고 권력자인 황제가 살아 아무나 함부로 들어설 수 없는 곳이라는 새김이니, 원래 이름 엉겅퀴의 엄격함이 제법 잘 어울린다.

이곳에는 황도(皇道)가 지나간다. 중국 최후의 왕조가 마지막까지 버틴 곳이라 그 황도는 그대로 살아 있다. 황도는 황제의 길이다. 황제만이 머물며 지날 수 있는 길이다. 자금성을 남북으로 지나는 복판의 축선(軸線)이 곧 황도다. 북쪽 멀리의 연산, 더 멀리 곤륜산으로부터 뻗어내린 풍수상의 용맥(龍脈)이기도 하다.

자금성 복판의 축선을 중심으로 설정한 황궁 외곽의 주변선이 다시 범위를 넓혀 왕조 시절의 옛 베이징 성내를 형성했다. 그 구역의 주변은 지금의 ‘2환(環) 도로’를 형성했고, 이제는 3~6환의 외곽 도로가 그어지면서 베이징의 외곽이 크게 넓어졌다.

이 도시는 축선이 가장 핵심적인 장치다. 자금성의 복판을 남북으로 지나는 축선은 약 7.8㎞에 이른다. 그 길이를 실감하기 어려운 사람은 조선의 도성인 한양의 축선을 떠올리면 좋다. 경복궁 북쪽에서 숭례문까지를 떠올려 보라는 얘기다. 정확한 수치는 찾지 못했지만 2.5㎞ 남짓으로 추정한다.

중심에선 통제와 수렴이 원활히 진행

중국 집권 공산당은 이 축선을 얼마 전에 활용했다. 고대 문화유산의 적절한 이용이었을까. 아무튼 2008년에 아주 성대하게 열린 베이징올림픽의 메인 스타디움 등이 들어선 곳은 종래의 황도인 축선을 12㎞ 더 북쪽으로 연장해 만들었다.

그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중국 전통 문명의 계승자라는 점을 세계 만방에 알리려는 의도일 수 있고, 떠오르는 중국의 강력한 힘이 예전 왕조시대처럼 천하의 중심에 설 수 있다는 자부심의 표현일 수 있다. 우리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중국의 거센 ‘굴기’와 함께 지켜본 기억이 있다.

자금성 앞에 동서로 흐르는 거리도 있다. 이른바 창안제(長安街)다. 길이 7.3㎞의 동서 축선에 해당하는 장치다. 그 서쪽 끝 구역에는 중국 공산당 최고 지도부가 사는 ‘중난하이’가 있다. 최고 지도부의 각종 행사와 출입, 이동을 위해 엄격하고 면밀하게 통제하는 도로다.

축선의 설정은 배열의 시작이자, 제가 서 있어야 할 ‘중심’을 형성해 통제와 수렴을 원활하게 진행하려는 전략의 기본에 해당한다. 자금성을 중심으로 그어진 남북의 축선에 고도의 통제와 엄격함을 숨기고 있는 동서의 축선이 겹치는 장면은 베이징의 거대한 인문 경관(景觀)이다. 우리는 어떨까. 중심을 잘 잡아가고 있을까. 서 있어야 할 곳과 나아가야 할 곳을 제대로 가리는 것일까. 베이징에 들를 때 나는 그 축선을 거니는 경우가 퍽 많다.

유광종 < 뉴스웍스 콘텐츠연구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