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후폭풍 6개월 이상 간다" 75.8%
경제전문가 10명 중 7명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의 금융시장과 실물경기에 대한 부정적 여파가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은 국내외 경제 여건 악화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정부 수정 예상치(2.8%)보다도 낮은 2.5%를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올 하반기 20조원 이상 쏟아붓는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및 내수활성화 대책 효과는 단기 경기 부양에 그치고 이내 소멸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경제신문이 3일 전국경제인연합회와 함께 대학교수, 연구기관 연구원 등 경제전문가 33명을 대상으로 ‘브렉시트 및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 대한 긴급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경제전문가 대부분(75.8%)은 브렉시트가 국내외 금융시장과 실물경기에 중·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응답자의 42.5%는 부정적 영향이 1년 이상 나타날 것이라고 답했다. 33.3%는 6개월 이상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부정적 영향이 단기적(3개월 이내)일 것이라고 답한 경우는 18.2%(나머지 6%는 기타)에 불과했다.
"브렉시트 후폭풍 6개월 이상 간다" 75.8%
전문가들은 브렉시트로 세계 경제가 받을 악영향으로 ‘유럽연합(EU)체제 붕괴 우려에 따른 경기침체’(51.5%)와 ‘파운드화 폭락 등 영국 경제 타격’(31.8%)을 꼽았다. 이어 △기타(9.1%) △엔화 급등에 따른 아베노믹스 타격(4.6%) △미국 금리인상 기조 제동(3.0%) 순이었다.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 가장 우려되는 분야는 ‘외환·금융시장의 변동성 심화’(54.5%)를 지적했다. ‘전 세계적 경기부진 심화에 따른 국내경기 동반 침체’(30.3%)도 걱정거리로 꼽았다. ‘경제주체들의 투자·소비심리 위축’(9.1%)과 ‘영국을 포함한 유럽시장에 대한 수출 감소’(6.1%)가 뒤를 이었다.

올초와 비교해 하반기 대외 경제여건은 대부분(84.9%)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다. 응답자의 69.7%는 올초와 비교해 하반기 대외 경제여건이 ‘조금 나빠질 것’이라고 답했으며, 15.2%는 ‘훨씬 나빠질 것’이라고 했다. ‘비슷할 것’(12.1%)이란 전망과 ‘조금 나아질 것’(3.0%)이란 예상이 뒤를 이었다. 홍성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재정금융팀장은 “브렉시트뿐만 아니라 미국 금리 인상 여부, 국제 유가 변동 등을 고려할 때 올 하반기 경제여건이 올초와 비교해 악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 것”이라고 말했다.

많은 경제전문가(69.7%)는 한국 경제성장률이 2.5%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진단했다. 정부 예상(2.8%)을 밑도는 수치다. 응답자의 66.7%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2.0~2.5%로 전망했으며, 응답자의 30.3%는 2.5~3.0%로 내다봤다. 1.5~2.0%에 그칠 것이란 전망(3.0%)도 나왔다.

정부 경제정책과 관련해선 엇갈린 평가를 내놨다. 지난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연 1.50%→1.25%)에 대해 응답자의 절반 이상(51.6%)이 ‘선제적 경기부양 효과를 고려한 시의적절한 조치’라고 답했다. 나머지는 ‘통화정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가계부채 등 부작용이 우려되는 조치’(24.2%)와 ‘중립 또는 판단 유보’(24.2%)로 의견이 엇갈렸다.

경제전문가 대다수(72.7%)는 하반기 20조원 이상을 투입하는 정부 추가경정예산 및 내수활성화 대책과 관련해 ‘단기적 경기부양에 효과가 있으나 이내 소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24.3%는 ‘근본적 체력 약화로 경기부양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응답했다. ‘경기부진 장기화를 극복하는 단초가 될 것’이란 의견은 3.0%에 그쳤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내수 침체와 수출 부진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예상치 못한 브렉시트까지 발생해 대내외 여건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며 “금리 인하, 추경 등 전통적 경기부양책으로는 위기를 극복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하반기에는 신산업을 육성하고 노동·금융개혁을 추진하는 등 경제체질을 바꾸는 데 힘을 쏟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