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자동화 투자 정도, 노동자 학력수준 등에 따라 국가별 차이
韓·에스토니아·핀란드·日 낮고 오스트리아·독일·스페인 높아


한국이 로봇으로 대체될 위험이 큰 일자리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추산됐다.

30일 OECD가 최근 발간한 '자동화에 따른 OECD 국가 간 일자리 위험 비교분석'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OECD 21개 회원국 내 일자리의 자동화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일자리 중 평균 9%가 자동화될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자동화될 위험이 크다는 것은 로봇 등으로 대체될 위험이 70% 이상이라는 뜻이다.

이는 OECD 국가 내 과업구조에 대한 설문조사인 PIAAC(성인 역량 국제평가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다.

분석대상 OECD 국가 중 한국과 에스토니아 등은 로봇 등으로 대체 위험이 큰 일자리 비율이 6%로 가장 낮은 것으로 추산됐다.

이어 폴란드, 스웨덴, 핀란드, 벨기에, 일본 등이 7%로 뒤를 이었다.

미국과 프랑스, 캐나다, 덴마크 등은 9%, 네덜란드, 노르웨이, 영국, 체코 등은 10%로 추산됐다.

반면에, 독일과 오스트리아, 스페인은 자동화 위험이 큰 일자리 비율이 12%로 추산돼 분석대상 국가 중 가장 높았다.

이같이 국가별로 자동화 위험이 큰 일자리 비율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일터의 조직화나 과거 자동화 기술에 대한 투자, 노동자의 학력 수준 등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한국은 평균수준인 미국과 비교했을 때, 노동자들이 학력수준과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자동화 가능한 과업을 수행하는 비율이 낮았고, 전체적인 학력수준도 높아 자동화 위험이 큰 일자리의 비율이 낮았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반면에, 오스트리아는 미국과 비교했을 때 노동자들이 학력수준이 같아도 자동화 가능한 과업을 수행하는 비율이 낮았지만, 전체적으로 자동화 가능한 과업을 수행하는 중간 또는 저숙련 노동자 비율이 높아 자동화 위험이 큰 일자리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보고서는 국가별로 자동화 위험이 큰 일자리 비율을 결정하는 것은 노동자들의 교육수준과 소득이라고 지적했다.

자동화 위험이 큰 일자리는 대부분 저숙련·저소득 노동자들의 일자리라는 설명이다.

반면에, 교육수준이 높은 고숙련 노동자가 많은 국가들은 자동화 위험이 큰 일자리 비율이 낮았다.

이들은 저숙련 노동자보다 자동화 가능한 과업을 적게 수행하기 때문이다.

한편, 보고서는 로봇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일자리가 기술적 진보에 따른 일자리 감소분과 동일시되면 안된다고 지적했다.

신기술의 적용은 경제적, 법적, 사회적 장애물 때문에 매우 오래 걸리는데다, 설사 도입이 된다 하더라도 노동자들은 바뀌는 기술환경에 적응해 실업을 모면할 수 있고, 기술적 변화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앞서 선행연구를 보면 미국 내 일자리 중 47%는 앞으로 10∼20년 내에 컴퓨터와 알고리즘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비롯해 핀란드 내 일자리의 35%, 독일 내 일자리의 59%, 유럽 내 일자리의 45∼60%는 자동화 위험이 크다는 추산이 있었다.

보고서는 "자동화와 디지털화는 많은 숫자의 일자리를 파괴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다만, 저숙련 노동자는 고숙련 노동자보다 일자리의 자동화 위험이 커서 적응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른 불평등의 심화에 대처하고, 특히 저숙련 노동자들에게 충분한 재교육의 기회를 주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yulsi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