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하진 전북지사 "전북에 탄소산업 기지 조성할 것…5년간 1조6000억 투입"
송하진 전북지사(사진)는 “올해부터 2020년까지 약 1조6000억원을 들여 탄소산업 4대 전략기지 조성을 추진해 전북을 탄소산업의 메카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민선 6기 도정 2년째를 맞은 송 지사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사업비 5500억원 규모의 메가-탄소밸리 조성 등 국가정책사업을 착실히 추진해 2025년까지 매출 10조원, 기업 유치 240개, 고용 창출 3만5000명의 성과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연구원에서 진행 중인 탄소산업 육성 및 발전전략 수립 연구용역을 토대로 자동차와 신재생에너지, 조선·해양, 농·건설기계 등 4개 분야로 나눠 탄소산업을 키울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지난 1년간 도정을 점수로 매긴다면 몇 점을 주시겠습니까.

“딱히 점수를 매기긴 어렵지만 농생명·관광·탄소산업의 초석을 놓겠다는 취임 때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쉼 없이 달려왔습니다. 자평한다면 민선 6기 도정 추진 기반을 차분히 구축하고 도정에 활력을 불어넣는 한편 도민과 함께할 수 있는 밑그림을 완성했다는 점에서 낙제점은 아닐거라 확신합니다.”

▷농민들을 위해 시급히 추진할 도정 과제는 무엇입니까.

“지난 1년이 큰 그림을 그린 시기였다면 앞으로는 민선 6기 5대 핵심과제와 도정 주요 현안을 하나씩 꼼꼼히 챙기고 차질 없이 추진해나가는 데 중점을 둘 생각입니다. 올해도 할 일이 태산입니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즐겁고 건강한 ‘삼락농정’을 실현할 겁니다. 삼락농정은 ‘보람 찾는 농민, 제값 받는 농업, 사람 찾는 농촌’을 일컫는 것으로 농산물 제값 받기가 주요 내용입니다. 새만금 국제공항을 공항개발 중장기종합계획에 반영하고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의 전북 이전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야 합니다. 또 농생명 소프트웨어(SW) 융합클러스터 조성과 전북문화관광재단 설립도 반드시 해야 할 현안입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새만금사업 추진이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새만금사업은 전북뿐 아니라 국가의 미래가 걸린 사업입니다. 새만금지역은 중국의 동북해안 3대 특구와 근거리에 있는 등 세계 경제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 전략적인 지역입니다. 사업의 성패는 결국 민간투자 유치에 달려 있습니다. 그래서 정부도 새만금한중경협단지 조성을 국가 차원에서 실행 중이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전용 산단도 지정했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전제조건도 이행돼야 합니다. 바닷물이 넘실대는 상태에서 투자유치 활성화는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는 새만금 조기 개발과 함께 민간자본 유치 활성화를 위해 신항만, 국제공항, 고속도로, 내부간선도로 등 필수 사회간접자본(SOC) 시설을 구축해야 합니다.”

▷공공기관 이전이 마무리 단계에 있는 전북혁신도시 효과를 극대화할 방안은 있습니까.

“전북혁신도시는 농촌진흥청을 비롯한 8개 농업관련 기관과 지방행정연수원, 전기안전공사, 국민연금공단 등 관련 기관의 입주가 마무리 단계에 있습니다. 이전율이 92%에 이릅니다. 이들 기관의 혁신도시 이전이 완료되면 농생명산업과 지식기반서비스, 금융산업이 결합된 신성장 동력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농진청 등 8개 농업관련 연구개발 기관은 김제 민간육종단지와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정읍 방사선연구센터, 미생물산업지원센터 등과 연계해 농생명식품산업 거점 중심지로 육성하는 방안도 강구하고 있습니다.”

▷면세점 사업자로 지정된 HDC신라와 협력관계를 구축했는데요.

“지난 5월 HDC신라와 전북지역 홍보 및 관광 상품개발, 전북 특산품 판매장 설치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면세점과 전북을 연계한 관광객 활성화를 위해 면세점 구매고객에게 ‘열차+호텔+식당+관광지 입장료’ 등이 포함된 전북 여행 패키지 상품을 판매할 계획입니다. 내년 1월 개관하는 용산 면세점에 전북 특산품코너를 운영하고 지역명품과 향토음식을 팔 예정입니다.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당일 또는 1박2일 일정의 ‘신라면세점+전북 연계상품’ 출시도 구상 중입니다.”

▷20년 된 지방자치제도의 문제점이 여러 곳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지방의 경쟁력이 곧 국가의 경쟁력입니다. 지방자치의 핵심인 자주입법권, 자주조직권, 자주재정권의 보장이 뒤따라야 합니다. 자치사무 비율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40%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소요 재원과 사람도 지방으로 이양해야 합니다.”

전주=최성국 기자 sk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