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왼쪽)와 유승민 원내대표가 7일 각각 긴급 최고위원회의와 원내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왼쪽)와 유승민 원내대표가 7일 각각 긴급 최고위원회의와 원내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이 8일 의원총회를 열고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를 결정하기로 했다. 의총 안건은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에 관한 논의의 건’이며 지도부는 원내대표 사퇴 권고 결의안 채택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25일 ‘여당 원내 사령탑’에 대한 불신임 의사를 밝힌 이래 2주가량 지속된 유 원내대표 거취 논란은 어떤 식으로든 결론이 날 전망이다.

김무성 대표는 7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최고위원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최고위원회의에서 원내대표 사퇴 권고 결의안 채택을 위한 의총을 열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새누리당의 미래와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한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의원총회 명칭은 비박근혜(비박)계 의원들이 ‘원내대표 사퇴 권고 결의안 채택의 건’으로 결정한 것에 대해 반발하며 변경할 것을 요구하자 ‘거취에 관한 논의의 건’으로 바뀌었다. 유 원내대표는 “의총 결론에 따르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유 원내대표는 의총에는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

새누리당 내에선 유 원내대표가 사퇴하는 수순으로 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당 관계자들은 본인의 거취 문제로 의총이 열리는 것 자체가 유 원내대표에게 부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유 원내대표는 그간 의원들이 뽑은 원내대표 자리를 함부로 내놓을 수 없다는 점을 근거로 안팎의 사퇴 요구를 거부해 왔다. 의원 다수는 사퇴에 반대할 것이라는 판단도 깔려 있었다. 하지만 의총에서 사퇴를 요구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질 경우 상황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거취 논란이 장기화하면서 당내 기류도 ‘사퇴 불가피론’ 쪽으로 기울고 있다. 청와대와 당의 불편한 관계가 지속되고, 친박근혜(친박)계와 비박계 간 갈등이 심해지는 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시각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최고위원회의가 의총을 열어 유 원내대표 거취를 논의하기로 한 것은 논란이 더 이상 지속되면 누구에게도 이롭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친박계가 정한 사퇴 시한인 6일이 지나서도 유 원내대표가 입장을 밝히지 않자 최고위원들은 의총을 열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친박계와 비박계의 물밑 움직임은 계속됐다. 이장우 의원은 이날 충청권 친박계 의원 간담회 직후 “국정을 안정적으로 이끌기 위해 유 원내대표가 스스로 거취를 표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비박계 재선 의원들도 이날 대책을 논의했다. 박민식 의원은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사퇴권고결의안 채택에 대해 문제가 있다는 인식을 같이했다”며 “명칭 자체가 결론을 정해두고 의총을 여는 것이기 때문에 의원들의 자유로운 의사소통에 방해가 될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친이명박(친이)계 좌장인 이재오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의원들이 선출한 원내대표를 권력의 이름으로 몰아내고도 정치혁신을 말할 수 있느냐”며 “지금 물러나야 할 사람은 최고위원들”이라고 밝혔다.

결의안 채택 방식과 관련, 김 대표는 “가능한 한 표결까지는 가지 않도록 하겠다”며 “만장일치가 돼야 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의원들의 토론 결과 어느 정도 다수의 의견이 모아진 것으로 판단되면 결의안을 채택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비박계의 반발로 표결을 통한 결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김용태 의원은 “원내대표만의 책임인지 최고위원회 전체 책임인지 규명하고 개별 사안은 표결로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