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퍼트롤]여의도 증권가, 2차 사이버 망명 '광풍'…왜?
"최근 여의도는 쥐 죽은 듯 고요합니다. 연예계 이슈에서부터 각종 기업 정보들이 떠돌며 말이 말을 만들던 모습은 사라지고 그 어느 때보다 웅크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서울 여의도 증권가에 때아닌 '사이버 망명' 광풍이 불고 있다. 지난해 CJ E&M 사건 발생 이후 두번째로 큰 대규모 망명 사태다. 양상은 조금 다르다. 해외 메신저에 이미 가입한 사람들이 탈퇴 후 재가입을 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여의도에는 비상이 걸렸다. 새롭게 '시장질서 교란행위 금지'가 도입됐기 때문이다.

개정안에 따라 잘못된 투자정보를 담은 증권가 정보지(찌라시)를 온라인 메신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으로 공유하면 시장질서 교란행위로 과징금이 부과된다. 또 지인을 통해 기업의 미공개 정보를 직간접적으로 전달 받아 주식거래를 한 모든 이가 처벌 대상이다.

이를 대비하는 움직임은 한 온라인 메신저에서 가장 먼저 나타났다. 최근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 메신저 '탈퇴→재가입' 열풍이 나타난 것.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자산운용사 펀드매니저 등이 주로 이용하는 '텔레그램' 얘기다.

텔레그램은 온라인 메신저 중에서도 보안성에 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은밀한(?) 정보를 주고받고 싶어하는 업계 관계자들이 애용하고 있다.

러시아의 소셜네트워크 개발자에 의해 만들어진 텔레그램은 독일 베를린에 본사가 위치해 있어 서버가 국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또 보안을 이유로 대화 내용 저장 기능이 없는 점이 특징이다.

여기에 가입자가 3800만여명에 달하는 카카오톡을 둘러싸고 지난해 10월 정부의 사찰 논란이 일면서 텔레그램으로의 '사이버 망명'(인터넷 게시판, 이메일, 메신저 이용자들이 개인 정보유출 방지를 위해 국가기관의 사이버 검열이 미치지 않는 해외에 서버를 둔 서비스로 옮겨가는 것)이 가속화됐다.

특히 여의도 증권가에서는 지난해 감독당국의 CJ E&M 불공정거래 조사 당시 텔레그램 사용자들이 급증했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들은 텔레그램 '탈퇴→재가입'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비하려는 차원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한 관계자는 "텔레그램 계정을 탈퇴한 뒤 재가입할 경우엔 이전에 올렸던 정보들이 모두 사라진다는 얘기가 퍼졌다"며 "미리 대비해 나쁠 건 없지 않냐"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기업정보와 허위사실 최초 유포자 뿐 아니라 2차 유포자들도 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말이 돌면서 업계 분위기가 매우 보수적으로 변했다"며 "특히 종목을 선정하는 팀들이 몸사리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텔레그램에 대한 안전성도 의심이 들어 아예 메신저를 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그는 "텔레그램의 서버가 해외에 있다고 해도 보안이 완벽하게 이뤄질 것으로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정부와 당국이 엄중한 방침을 밝힌 이상 당분간 증권 관계자들은 몸을 바짝 엎드릴 것"이라고 귀띔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