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이정희 기자 ljh@hankyung.com
그래픽=이정희 기자 ljh@hankyung.com
스포츠 선진국 독일은 10만개의 스포츠클럽과 3000만명 이상의 스포츠 동호회 활동 인구를 자랑한다. 1980년대 성장 둔화와 고용창출의 벽에 직면하자 독일은 근로자의 근무시간을 줄여 여가를 보장하는 ‘잡 셰어링(Job Sharing)’ 정책을 폈다. 늘어난 여가시간은 생활체육 시설 증가로 이어졌고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스포츠 참여 문화가 자연스럽게 형성됐다. 생활체육을 통해 국민 건강과 스포츠산업 발전의 기초를 다진 대표적 사례다.

저성장 고령화 시대에 ‘돈 되는’ 생활스포츠에 대한 관심은 아시아 국가들도 예외는 아니다. 일본은 2012년 초·중·고 학생의 생활체육 활성화를 골자로 한 ‘스포츠 기본계획’을 마련해 시행 중이다. 중국도 지난해 축구, 골프 등 전략 종목을 학교체육에 편입하고 체육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등 생활스포츠를 통한 스포츠산업 육성에 발벗고 나섰다.

◆생활체육 경제적 가치 주목

한국 정부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달엔 500만 생활체육인의 숙원인 생활체육진흥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국민생활체육회는 정책과 예산 등을 체계적으로 정비할 수 있게 됐고, 지방자치단체들도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예산 편성과 시책 마련 등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각종 생활체육대회도 경제 활성화와 경제적 효과에 초점을 둔 융합형 비즈니스 모델로 변모하고 있다. 경기도는 도비 15억원과 시·군비 15억원, 국민체육진흥기금 3억원 등 총 33억원을 들여 ‘전국생활체육대축전’을 내달 14일부터 연다. 이 대회에는 선수단 2만5000여명과 관계자, 관광객 등을 포함해 연인원이 적게는 6만명, 많게는 20만명이 참여해 약 200억원의 직·간접 경제효과를 거둘 것으로 경기도는 전망하고 있다. 대회 이후 재방문 기대 효과를 제외하고도 비용 대비 수익을 추산해보면 충분히 남는 장사다.

생활스포츠 관련 기업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생활 속 스포츠 참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전문 운동선수들이 즐기던 기능성 의류가 대중화 바람을 타고 있다. 생활스포츠 마니아를 대상으로 이마트가 전개 중인 데이즈스포츠의 매출은 오랜 내수 침체에도 2013년 2789억원에서 지난해 3500억원으로 25.5% 성장했다. 데이즈스포츠의 올해 매출 목표는 5000억원. 스포츠 참여 인구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점을 감안한 결과다.

◆고령사회 의료비 절감 등 사회적 효과 커

앞으로 4~5년 안에 한국은 본격적인 고령사회로 진입한다. 문제는 노인인구가 늘면서 의료비 지출의 사회적 부담이 함께 늘어난다는 것. 지난해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헬스 데이터’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연간 진료비는 15조3768억원으로 전체 진료비(46조2379억원)의 약 33%를 차지한다. 노인 1인당 연간 진료비도 298만원으로 국민 전체 평균(94만원)의 3배에 달한다.

생활체육이 각광받는 것은 스포츠 참여만으로도 노인 의료비 지출을 크게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스포츠개발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생활체육 참여자의 1인당 연간 의료비는 26만7800원인 데 비해 비참여자는 55만6000원으로 2배 이상 높다. 노인 의료비가 가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잖은 상황에서 정부가 스포츠 참여를 의료비 절감의 효과적인 방안으로 주목하는 이유다.

◆생활체육 참여는 여전히 미흡

생활체육의 경제효과가 주목받고 있지만 국민 전체의 참여는 여전히 미흡하다. 문화체육관광부가 국민 생활체육 참여 실태를 조사한 결과 2013년 1주일에 한 번이라도 운동을 하는 국민은 전체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본(74.5%)과 독일(69%) 등에 비해 한참 뒤처져 있다.

지역별 생활체육 참여율은 전남이 67.2%로 가장 높았다. 제주(60.2%)·광주 (57.8%)·인천(53.6%)·서울(50.7%)이 뒤를 이었다. 가장 낮은 곳은 36.5%의 충남이다. 전남과의 참여율 격차는 30.7%포인트에 달했다. 국민 1인당 생활체육에 투자하는 비용은 꾸준히 늘고 있다. 2012년 48만9600원에서 2013년에는 61만3416원으로 25.2% 증가했다.

배상우 고려대 국제스포츠학부 교수는 “생활스포츠가 활성화되면 국민건강 증진은 물론 일자리 창출과 관련 용품산업 활성화 등 ‘1석3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유정우 기자 seeyo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