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언론매체 A사는 대기업 B사가 취재 관련 협찬을 거부하자 이 회사의 사소한 잘못을 확대하거나 수년이 지난 과거 사실을 재탕 보도하는 방법을 동원,B사를 압박했다. B사는 정정보도와 기사철회를 요구했지만 그 때마다 A 인터넷 매체는 광고나 협찬이 먼저라며 정정을 거부했다. 결국 B사는 협찬하며 A 인터넷 매체와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갈등을 해결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홍보협의회는 7일 '인터넷 신문의 역할과 발전방안' 보고서를 통해 인터넷 매체들의 보도행태를 비판했다. 회원사 427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6%가 오보와 왜곡 보도로,45%가 강압적 협찬 · 광고 요구로 피해를 봤다는 답변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인터넷 언론의 문제점을 묻는 질문에는 '자체 검증기능 부족에 따른 기사 신뢰성 약화(43%)','조회 수를 높이기 위한 낚시형 제목(37%)' 등의 답이 나왔다. 인터넷 신문사 숫자에 대해서는 '너무 많다'는 응답이 84%에 달했다.

인터넷 언론의 폐해를 막는 방법과 관련,응답 기업의 50%가 인터넷 신문 설립요건 강화와 퇴출제도 정비 등 규제 강화를 주문했다. 현행법에 따르면 3명 이상의 직원을 확보한 뒤 신고 절차만 거치면 인터넷 신문을 만들 수 있다. 포털 사이트가 더 많은 책임을 져야 한다는 답도 23%에 달했다.

경제홍보협의회는 인터넷 매체와 광고주,언론재단 등이 함께 참여하는 민간 논의기구 설립을 제안했다. 왜곡 보도가 빈번한 인터넷 매체에 일정기간 발행 정지 조치를 내리는 등의 실질적 제재를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게 협의회 측 설명이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