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편성채널 사업을 준비 중인 언론사들이 적정한 종편 사업자 수를 놓고 서로 엇갈린 입장을 보였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14일 경기도 과천시 KISDI 대강당에서 '종편 및 보도전문채널 도입에 대한 의견수렴 라운드테이블'을 열어 예비 사업자들의 의견을 들었다. 이날 행사는 종합편성 및 보도전문채널 사업자 선정을 앞두고 예비 사업자들이 처음으로 한데 모인 자리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았다.

이봉구 한국경제신문 종편추진사무국 상임위원은 "종편을 준비하고 있는 사업자들이 내놓은 사업계획서를 비교심사(RFP) 방식으로 심사해 높은 점수를 받는 곳을 종편 사업자로 선정해야 한다"며 "현재의 어려운 방송 시장을 감안하면 종편 사업자는 1개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차수 동아일보 방송사업본부장은 "지금 방송시장 규모로 볼 때 2개 이상의 종편을 선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정 기준 이상의 요건을 갖춘 사업자에게 모두 (종편을) 허가한다면 아무도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고종원 조선일보 경영기획실 기획팀장도 "글로벌 미디어 기업을 육성하려는 정부의 정책적 목표에 맞춰 종편의 개수를 결정해야 한다"며 다수의 사업자를 선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뜻을 피력했다.

반면 김수길 중앙일보 방송사업본부장은 "정부가 사업자 수를 미리 정하는 것은 옳지 않으며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통과하는 후보자에게는 방송을 허가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류호길 매일경제 종편추진본부 사무국장은 "일정 기준을 적용해 1 · 2 · 3등 사업자 등이 다양하게 나와야 한다"며 일정 기준을 넘어서면 사업권을 무조건 줘야 한다는 이른바 '준칙주의'를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언론사들은 종편 사업자의 자본금 규모에 대해서도 다른 의견을 보였다. 이봉구 한국경제 상임위원은 "자본금 규모가 가장 중요하며 일정 자본금 규모를 넘어서면 가점을 줘야 한다"고 주장한 데 반해 류호길 매일경제 사무국장은 "초기 자본금 규모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맞섰다. 또 대주주의 재무상태나 방송 경영 경험 등 다른 선정 기준을 두고서도 언론사들의 입장이 갈렸다. 한국경제와 조선일보는 "종편 대주주의 재무상태를 잘 살펴야 한다"고 강조한 반면 중앙일보는 "10년간 미디어 분야에 투자해온 회사와 그렇지 않은 회사의 재무구조가 같을 수 없다"고 항변했다.

한편 보도전문채널 진출을 희망하는 언론사들도 사업자 수와 선정 기준을 두고 다양한 주장을 제시했다. 이들은 현행 방송법 상 의무재송신 채널로 분류돼 있는 YTN,MBN 등 기존 보도채널과 공정한 경쟁을 위해서는 신규 사업자들에도 같은 혜택을 줘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