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7개국(G7)이 특정 국가에서 수입하는 핵심 광물 비중을 낮추기 위해 공동 목표를 세울 전망이다. 핵심 광물의 공급망 다양화로 탄소중립을 실천하겠다는 게 명목상 이유지만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조치로 해석된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G7이 특정국에서의 핵심 광물 수입 비중을 낮추기 위해 공통의 목표를 마련하고 있다고 25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G7은 구체적으로 핵심 광물 수입 비중 목표를 정하고, 특정 국가를 제외한 다른 국가에서 수입을 늘려 최종적으로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G7 각국이 자원국에 공동 투자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일본은 올해 G7 의장국을 맡고 있어 향후 논의를 주도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올해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정상회의에서도 G7은 경제 안보를 위해 중요 광물의 중국 의존을 탈피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은 바 있다. G7은 공동성명에 중요 광물 공급원을 어떻게 다양화할지 국제에너지기구(IEA)에 제언을 요구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IEA는 핵심 광물 선정을 추진 중이며 연내 제언을 발표할 방침이다.

핵심 광물에 대한 정의는 나라마다 달라 G7은 IEA의 가이드라인을 따를 가능성이 크다. 미국, 유럽연합(EU) 등은 자국 상황에 따라 30~35종의 핵심 광물을 선정해 관리하고 있다.

핵심 광물은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기술에 필수적이다. 하지만 중국의 시장 점유율이 지나치게 높아 공급망 다각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IEA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가공 공정에서 중국의 주요 광물 점유율은 희토류 87.1%, 코발트 64.7%, 리튬 57.8%, 구리 40%에 달한다.

중국은 첨단 반도체 핵심 소재인 갈륨·게르마늄의 수출을 다음달부터 통제하기로 하면서 미국과의 핵심 광물 전쟁을 선포했다. 미국이 대중 반도체 및 첨단기술 규제를 강화하자 중국이 핵심 광물을 무기화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