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인베스트 K-파이낸스’ 투자설명회(IR)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홍원학 삼성생명 사장, 김미섭 미래에셋증권 부회장, 하비 슈워츠 칼라일그룹 대표,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김의환 주뉴욕총영사관 총영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 강철원 서울시 정무부시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대니얼 심코위츠 모건스탠리 공동대표,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사장, 조용일 현대해상 부회장.  금융감독원 제공
지난 16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인베스트 K-파이낸스’ 투자설명회(IR)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홍원학 삼성생명 사장, 김미섭 미래에셋증권 부회장, 하비 슈워츠 칼라일그룹 대표,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김의환 주뉴욕총영사관 총영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 강철원 서울시 정무부시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대니얼 심코위츠 모건스탠리 공동대표,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사장, 조용일 현대해상 부회장. 금융감독원 제공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이해관계자들의 경제적 이익을 만족시키기 위해 (구조조정의) 시간을 더 끌 생각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지난 16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인베스트 K-파이낸스’ 투자설명회(IR) 직후 기자들과 만나 “우량 시공사의 보증이 있으면 망하지 않는데 왜 사업성 평가를 박하게 하느냐는 이야기(불만)가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1년 반 이상 (PF 사업장의) 손실 인식이 이연된 상태”라며 “제일 중요한 것은 사업성 없는 사업장을 지금처럼 두지 않고 충당금을 충분히 쌓든, 매각하든 현재 상황을 그대로 유지하지 않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사업성이 없는 상태에서 건설사가 보증을 부담하면 안 된다”며 “태영건설도 유동성이 상당히 컸는데도 계속 ‘잽’을 맞으면서 버틸 수가 없어졌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은 지난 13일 전국 5000여 곳의 PF 사업장에 새로운 사업성 평가 기준을 적용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한 PF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고 구조조정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전국 PF 사업장의 평가 기준을 기존 3단계(양호, 보통, 악화우려)에서 4단계(양호, 보통, 유의, 부실우려)로 세분화하고 다음달부터 적용하기로 했다.

새로운 평가 기준이 적용되면 사업성이 낮은 브리지론 비중이 큰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건전성 지표가 빠르게 나빠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저축은행, 캐피털, 증권 등 2금융권에 속하는 3개 업종이 추가로 적립해야 하는 부동산 PF 충당금 규모가 최소 3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다음달 이뤄지는 최초 평가 대상은 ‘연체’ 혹은 ‘3회 이상 만기를 연장한 사업장’으로, 전체 PF 사업장의 약 30%에 달할 전망이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