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월스트리트의 유명 분석가 중 한 명인 에드 야데니 야데니리서치 대표가 “증시가 바닥을 탈출했다는 신호가 잡히고 있다”고 설명했다.
야데니 대표는 29일(현지시간) CNBC에 출연해 “수익률 곡선 역전 현상이 지속하고 있는데, 신용 위기를 예고하는 대신 놀랄 만큼 빠른 속도로 떨어지는 인플레이션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수익률 곡선 역전은 단기 국채 금리가 장기채보다 오히려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단기채는 보통 미국 국채 2년물, 장기채는 10년물을 기준으로 한다. 경기 침체 예고 신호라는 게 대체적인 월가의 해석이다. 기준금리 인상 전망을 단기채가 반영하면서 단기채 금리는 오르지만, 침체 우려 때문에 안전 자산인 장기채 수요는 높아지기(가격 상승 및 금리 하락)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금리가 다시 떨어질 것이란 전망 역시 장기채 금리를 낮추는 요인 중 하나다.
미국 실업률은 최근 3.5~3.6% 사이에서 안정적인 수치를 보여왔다. 미 노동부 및 트레이딩이코노믹스 제공
야데니 대표는 “국채 금리가 이미 정점을 찍은 것 같다”며 “수익률 곡선 역전 추이를 보면, 뉴욕증시 역시 바닥을 탈출한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야데니 대표는 “내년 내구재(3년 이상 쓸 수 있는 가전제품 등 임의소비재) 가격이 떨어지면서 미 중앙은행(Fed)을 안심시키게 될 것”이라며 “덕분에 실업률이 6%로 치솟으면서 경기가 추락하는 경착륙은 오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간밤 뉴욕증시에서 주요지수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을 소화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9.02포인트(0.11%) 하락한 34,053.94로 거래를 마쳤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0.55포인트(1.47%) 상승한 4179.76으로, 나스닥지수는 384.50포인트(3.25%) 급등한 12,200.82로 마감했다.전날 Fed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고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그러나 시장은 제롬 파월 Fed 의장이 인플레이션 둔화를 언급하고 미래의 정책 경로에 대해 이전보다 덜 확신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면서 덜 매파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이날도 국채 금리 하락세는 지속됐으나 주가는 기술주만이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가치주들은 하락했다. 올해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고 Fed의 금리 인상 중단 가능성이 커지면서 기술주들이 상대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마감 시점에 3.39% 근방에서 거래됐다.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가 가파르게 진행되면서 Fed의 금리인상 기조가 종료될 수 있다는 점, 지난해 4분기 유럽을 중심으로 고조됐던 에너지 위기가 없었다는 점 등은 투자심리 개선과 호재성 재료로 작용하며 증시 강세를 견인했다"며 "여기에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파월 의장이 공식적으로 디스인플레이션을 언급하며 기대 이상의 발언을 내놓은 것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전일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메타플랫폼스는 비용 효율과 대규모 자사주 매입을 발표한 가운데 광고와 일일 활성 사용자 증가 소식에 23.3% 급등했다.이는 투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