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달러', 중국 수출도 타격…"미국향 성탄절 상품 선적 급감"
미국 달러화 초강세가 중국의 수출을 타격했다고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이 30일 보도했다.
'킹달러' 추세가 근래 중국 위안화의 미 달러화 대비 가치의 심리적 마지노선이라고 할 '1달러=7위안'을 진즉에 무너뜨려 환율 공포를 안긴 데 이어 중국의 성장엔진인 수출에도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고공행진 중인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이 급격한 금리 인상을 이어가면서 세계적인 경기침체 우려가 커져 소비가 급감한 탓에 중국의 수출도 줄어들고 있다고 차이신은 전했다.
한 컨테이너 선사 관계자는 "현재 수입 상품은 물론 수출 상품의 양이 지속해서 줄고 있다"고 말했다.
상하이국제해운연구센터의 정징원 연구원은 위안화 가치 하락으로 수입 비용이 커져 중소기업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이로 인해 수입이 줄고 있다고 짚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이 급등해 상품 가격도 뛰고 수요가 줄던 터에 킹달러 현상까지 겹치면서 상품 수입이 더 줄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의 수출입 감소는 컨테이너 선사의 물동량에서도 간접적으로 확인된다.
차이신은 글로벌 컨테이너 선사인 머스크와 스타라인의 2분기 화물 물동량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9%, 7% 줄었으며 지난 8월에는 감소 폭이 더 컸다고 전했다.
중신동방금융투자(CITIC 퓨처스)에 따르면 지난달 극동-북유럽 노선과 극동-서미주 노선의 컨테이너 화물량이 각각 6.6%, 9.9% 감소했다.
중국 대회무역경제협력기업협회의 차이자샹 부회장은 "통상 달러화 대비 위안화 가치가 떨어지면 중국 수출에 도움이 됐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러시아의 액화천연가스(LNG) 공급 중단으로 인해 유럽에 겨울철 난방 비상이 걸리면서, 중국산 전기담요 등 난방제품의 수출량이 많이 늘어난 걸 제외하면 중국의 수출 성수기는 아직 오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유럽 해운사 CMA CGM의 전 부사장인 궈사오하이는 "9월이 크리스마스 선적의 절정"이라며 "과거에는 중국에서 출발하는 컨테이너선이 짐을 가득 싣고 출항했으나 8월과 9월에는 화물량이 감소추세였으며 향후 몇 개월은 더 비관적"이라고 짚었다.
미국 시장의 소매 재고가 3월 12%, 4월 15%, 5월 18%, 6월 20%, 7월 20%로 증가해왔으며 이는 수요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차이신은 분석했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2021년 중국의 수출은 3조3천640억 달러(약3천996조원)로 전년보다 29.9% 증가했고, 6천764억 달러(약 804조원) 규모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해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위기 속에서도 중국 성장을 견인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중국은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도시 부분·전면 봉쇄 등으로 내수 경기 침체를 부른 데 이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강달러 현상 등이 겹치면서 수출 실적까지 저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