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국 부동산개발 업체의 연쇄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부양책을 내놓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15일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 등은 디폴트 위기에 처한 중국 1위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이 만기가 코앞인 채권의 상환 시점을 3년 연장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 채권의 원래 만기는 오는 9월이다. 비구이위안은 지난 6일 만기가 돌아온 10억달러(약 1조3160억원) 규모 채권 2종에 대한 이자 2250만달러를 지급하지 못해 디폴트 위기에 빠진 상태다. 비구이위안은 지난 6년(2017~2022년) 동안 매출 기준 중국 1위 부동산 개발업체다. 비구이위안에 이어 위안양그룹(시노오션)이 채권 이자를 지급하지 못했고, 완다그룹도 디폴트 위기라는 소식이 전해지는 등 중국 부동산 시장 전반에 도미노 붕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비구이위안 직원 7만 명과 3만3000여 개의 협력업체 직원이 실업자가 될 수도 있다. 비구이위안이 추진 중인 부동산 프로젝트 규모가 헝다의 4배 수준인 점도 부담이다.

중국의 대형 부동산 신탁회사인 중룽국제신탁이 만기를 맞은 상품 상환을 하지 못하면서 중국의 그림자 금융에까지 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중룽국제신탁만의 문제로 끝나지 않을 것이란 우려도 크다. 블룸버그통신은 USE 트러스트를 인용해 지난 7월까지 총 106개의 신탁상품이 채무불이행에 처했고, 전체 규모가 440억위안(약 8조800억원)이라고 보도했다. 과거 헝다 사태보다 파장이 클 것이란 우려가 일고 있다.

중국 정부의 대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과거 중국은 헝다그룹이 2021년 파산 위기에 처하자 정부가 직접 개입하면서 ‘질서 있는 해체’로 방향을 틀어 사태 수습에 나섰다. 이번에도 정부의 개입 가능성이 거론된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은 “비구이위안 사태로 중국 정부가 부양책을 꺼낼 명분이 생겼다”며 “은행 대출 규제 완화 등 신속한 조치가 취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2021년 헝다 사태 이후 부동산 투기를 막기 위해 내놓은 규제 정책을 완화할 가능성도 있다. 당시 정부는 △선수금을 제외한 자산부채비율 70% 이상 △순부채비율 100% 이하 △현금·단기부채비율 100% 이상 등의 기준을 준수할 것을 요구했다. 당국이 부채비율 완화를 통해 은행 대출 지원을 풀어줄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중국 전문가는 “은행 대출 규제를 풀어주면 일시적 유동성 위기에 처한 우량 회사는 디폴트 위기를 넘길 수 있다”고 진단했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