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다. 중국의 디플레이션(물가 하락)과 저성장 추세가 고착화하면서 대중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7일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6.3%로 집계됐다고 17일 발표했다. 로이터통신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7.3%)를 한참 밑돌았다. 인민대 거시경제포럼(7.7%), 중국은행연구원(7.6%) 등 중국 전문가들의 예상과는 더욱 격차가 컸다.

중국의 올 2분기 성장률 6.3%는 숫자만 놓고 보면 2021년 2분기의 7.9% 이후 가장 높다. 작년 4분기 2.9%, 올 1분기 4.5%를 상회한다. 그러나 비교 대상인 작년 2분기에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 아래 상하이, 지린성 등을 봉쇄하면서 성장률이 0.4%에 그쳤다는 점(기저효과)을 감안하면 상당히 부진한 결과로 분석된다. 투자은행 UBS는 기저효과와 디플레 상황 등을 감안하면 2분기 실제 성장률은 2%에도 못 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중국 내수 경기를 보여주는 부동산 투자 증가율은 상반기에 -7.9%로 떨어졌다. 6월 소매판매 증가율은 3.1%로 5월 12.7%에서 급락했다. 미래 성장률을 갉아먹는 요인으로 꼽히는 청년실업률은 6월 21.3%로 역대 최고치를 또 경신했다. 코로나19 팬더믹 기간 경제 버팀목 역할을 하던 수출도 5~6월 두 달 연속 감소했다.

중국의 6월 물가지수 상승률은 소비자물가(CPI)가 0%, 생산자물가가 -5.4%로 디플레 국면을 나타냈다. 물가 하락은 경기 부진을 반영한다. 물가가 더 내릴 것이란 예상에 소비 성향이 둔화하고, 이것이 경기를 더욱 침체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디플레가 인플레이션보다 무섭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중국 경기 둔화 속에 수입은 6월까지 9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 영향에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수출도 9개월 내리 줄었다. 한국 수출의 중국 의존도는 올 상반기 19.6%로 집계됐다. 2018년 26.8% 고점을 찍고 내려가는 추세지만, 중국 저성장 장기화 우려에 대비해 수출 다변화에 더욱 속도를 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