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월스트리트에서 비관적인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연말을 앞두고 ‘산타 랠리’를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사비타 수브라매니언 뱅크오브아메리카 전략책임자는 30일(현지시간) 새 투자 보고서에서 “매달 950억달러에 달하는 미 중앙은행(Fed)의 대차대조표 축소가 시장 변동성을 키우고 있다”며 “내년 말 S&P500지수가 기본적으로 4000을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으나 최악의 경우 3000까지 밀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증시가 침체되면 지금보다 24%가량 밀릴 수 있다는 것이다.
수브라매니언 전략가는 “유동성 리스크가 예기치 못한 곳에서 터질 수 있다”며 “다만 최상의 시나리오에선 지수가 4600까지 뛸 수 있다”고 말했다.
샘 스토벌 CFRA 최고투자전략가(CIS)는 “역사적으로 12월의 상승 확률은 77%에 달한다”며 “가장 많이 증시가 상승하는 달이지만 (올해처럼) 중간선거가 있을 때는 4번째 상승월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스토벌 전략가는 “올해 1~11월은 세계 2차 대전 이후 5번째 하락장을 기록했다”며 “그럴 때마다 12월엔 주가가 뛰긴 했으나 매우 약했다”고 전했다. 과거 4번의 하락장이 있던 시기는 1973년, 1974년, 2002년, 2008년이었다.
그는 “과거 4번의 대표적인 하락장 중에서 세 번은 이듬해 시장 상승을 경험했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S&P500지수는 올해 15% 넘게 하락한 상태다. 퀸시 크로스비 LPL파이낸셜 수석전략가는 “12월엔 기관투자자들의 자금이 새롭게 들어오는 시기”라며 금리 인상과 침체 위협이 있으나 내년 1월까지 산타 랠리가 올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앞으로 나올 물가 지표도 긍정적일 것”이라고 기대했다. 12월1일엔 개인소비지출(PCE) 기준 10월 물가가, 같은 달 13일엔 11월 기준 소비자물가지수(CPI)가 각각 공개된다.
크로스비 전략가는 “주가가 뛸 때마다 약세장 랠리라는 평가가 있으나, 앞으로 나올 상승장은 더 강력한 강세로 바뀔 만한 촉매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토니 디스피리토 블랙록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실적 감소 위험에도 주가 할인을 감안할 때 주식 투자를 지속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시장의 가격 할인 폭이 가장 큰 헬스케어에 주목할 만하다”며 “고령화 추이와 회복 탄력성 등을 감안할 때 헬스케어 부문의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알파벳, 아마존, 애플, 메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 ‘5대 빅테크(대형 기술기업)’의 인공지능(AI) 투자 전략을 정밀 분석한 외신 보도가 나왔다. MS는 스타트업에, 애플은 인수합병(M&A)에 중점 투자해 AI 역량을 쌓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인재 확보에 집중한 알파벳은 업계 최대 논문 발표 건수를 기록했다. 빅테크 간 경쟁으로 AI 대중화 시대가 눈앞에 왔다는 분석이 나온다. 애플, M&A 비중 중 절반이 AI 업체26일(현지시간) 영국 경제주간지인 이코노미스트는 리서치 업체인 피치북, 프레딕트리즈와 채용정보업체 링크드인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2019년부터 이달까지 알파벳, 아마존, 애플, 메타, MS 등의 투자, M&A·인력·특허·논문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들 업체의 누적 투자액 중 AI 관련 투자 비중은 20%로 집계됐다. 가상 세계 구현 기술인 메타버스(6%), 암호화폐에 쓰이는 ‘웹3.0(2%)’ 등의 투자 규모를 압도했다.투자 방식은 업체별로 크게 달랐다. MS는 밴처캐피털(VC) 및 사모펀드에 들인 투자액 중 AI 관련 비중이 34%로 위 5개 업체 중 가장 많았다. 2위 규모인 알파벳(15%)보다 2배 이상 비중이 컸다. 지난해 11월 ‘챗GPT'를 선보이며 AI 열풍을 일으킨 스타트업 ‘오픈AI’가 MS의 대표 투자처다. MS는 오픈AI에 110억달러(약 14조3000억원)를 투자해 이 회사 지분 38%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MS는 데이터센터용 AI 업체인 디매트릭스, 업무자동화업체인 노블AI에도 투자했다. 클라우드 서비스, 사무용 소프트웨어 등 MS의 주력 사업과 밀접한 업체들이다.애플은 스타트업 투자 대신 AI 기업을 통째로 사들이는 전략을 택했다. 애플의 VC·사모펀
미국의 한 학교에서 르네상스 거장 미켈란젤로의 걸작인 '다비드'상 사진을 수업 시간에 보여줬다가, '포르노'라고 주장하는 학부모들의 항의로 이 학교 교장이 물러나는 일이 발생했다.이에 다비드상 보유국인 이탈리아에서는 '말도 안 되는 일'이라며 비판에 나섰다.26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플로리다주의 '탤러해시 클래식 스쿨'은 지난주 6학년 미술 수업 시간에 미켈란젤로의 '다비드' 상 사진을 학생들에게 보여준 것과 관련, 이 학교 호프 캐러스킬라 교장에게 사임과 해고 중에 선택할 것을 권고했다. 일부 학부모들이 "나체 조각상인 이 작품을 수업에 사용할 것이라는 통보받지 못했다"며 항의를 해와서다. 학부모들은 다비드상을 '포르노'라고 표현하기도 했다는 게 이 학교 교장의 설명이다.이 같은 압박감에 해당 교장은 결국 자진 사퇴했다. 또, 학부모들의 경우 앞으로 수업 내용을 미리 알려 달라고 학교 측에 요구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다비드상 보유국인 이탈리아의 피렌체시(市)는 해고된 교장을 초청하며 '예술과 외설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에 나섰다. 다리오 나르델라 피렌체 시장은 "예술과 포르노를 혼동하는 것은 우스꽝스러운 일"이라고 비판했다.미술관 측도 '와서 보고 배우라'는 의미로 학생과 학부모를 초청했다. 홀베그르 관장은 "다비드가 포르노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성경의 내용과 서양 문화는 물론 르네상스 예술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또한 로마에 있는 아메리칸 아카데미의 인문학 연구 책임자 마를라 스토네는 "다비드상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붕괴 이후 수백조원의 뭉칫돈이 머니마켓펀드(MMF)로 몰린 것으로 집계됐다. 중소은행의 건전성 불안이 계속되자 은행 예금을 빼내 안전투자처인 MMF로 자금을 옮겨 담는 투자자들이 늘어나면서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데이터 제공업체 EPFR 자료를 인용해 "이달에만 2860억달러(약 371조8000억원) 이상이 MMF로 유입됐다"고 보도했다.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대유행) 이후 최대 유입량을 찍은 달로 기록됐다.골드만삭스 MMF에는 SVB가 파산하기 전날인 3월 9일 이후 약 520억달러가 흘러들어왔다. 아이머니네트 자료에 따르면 동기간 JP모건과 피델리티는 각각 460억달러, 370억달러에 달하는 신규 자금을 MMF에 유치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이달 들어 급격한 자금 유입으로 인해 지난 22일 기준 MMF 전체 자산은 사상 최고치인 5조1000억달러로 뛰어올랐다"고 추산했다.이 자금은 주로 미국 중소은행들의 예금에서 빠져 나온 돈으로 분석됐다. Fed의 자료에 의하면 이달 9일부터 15일까지 일주일 간 미국 전체 은행의 예금 규모는 984억달러가 줄어들었다. 대형 금융기관에 예치된 금액이 670억달러 늘어난 점을 고려하면 중소형은행에서 자금 이탈이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JP모건은 "최근 2주 동안 지방 중소은행에서 빠져나간 예금 규모가 5500억달러에 이른다"는 보고서를 내놓기도 했다.SVB와 시그니처은행의 연이은 파산 이후 금융 소비자들 사이에서 중소은행에 돈을 맡기는 데 대한 불안감이 커진 탓으로 풀이된다. 이들이 대형은행이나 MMF에 돈을 옮기고 있다는 진단이다. 골드만삭스애셋매니지먼트의 애쉬 샤 최고투자책임자(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