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자상거래기업 아마존이 두 분기 연속 순손실을 냈다. 하지만 28일(현지시간) 실적 발표 후 시간외거래에서 주가는 13% 이상 뛰었다. 주력 사업인 클라우드 부문 실적 호조와 3분기 낙관적인 가이던스(실적 전망치)가 주가를 밀어올렸다.

아마존은 이날 지난 2분기(4~6월) 20억달러 순손실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7년 만에 순손실을 본 1분기(-38억달러)에 이어 두 분기 연속 순손실이다. 2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7.2% 늘어난 1212억달러로 집계됐다. 21년 만에 매출 증가율이 가장 저조했던 1분기(7.3%)보다도 성장세가 둔화했다.

아마존의 2분기 실적이 부진한 이유는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전자상거래 사업 성장성 둔화와 전기자동차업체 리비안 투자로 인한 평가손실 때문이다. 아마존이 투자한 리비안 주가가 급락해 발생한 2분기 평가손실 39억달러가 순손실로 이어졌다. 리오프닝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보다 전자상거래가 부진했고, 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자 수요 감소가 겹쳤다.

하지만 클라우드 사업 성적은 좋았다. 클라우드 사업 자회사인 아마존웹서비스(AWS)의 2분기 매출은 197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늘었다. AWS의 세계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은 34%로 압도적인 1위다. 아마존은 클라우드 투자를 더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3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1250억~1300억달러로 제시했다. 월가 예상(1264억달러)을 웃도는 수치다. 앤디 재시 최고경영자(CEO)는 “빠른 배송 등 고급 서비스를 강화해 매출을 늘리고, 채용 축소 등 비용 절감에도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