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유럽연합(EU) 주재 중국상공회의소(CCCEU)가 발표한 중국의 수입차 관세 인상 소식은 중국산 전기차와 전기차용 배터리, 반도체 등에 대한 미국의 ‘관세 폭탄’에 이어 EU의 반보조금 조사가 한창인 상황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중국은 공식적인 루트를 취하지 않았다. CCCEU가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공개한 문서는 “CCCEU는 중국이 대형 엔진을 장착한 수입 자동차에 대해 일시적인 관세율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내부자들로부터 전달받았다(informed by insiders)”고 표현했다.

CCCEU는 이어 “미국의 중국산 전기차 관세 인상 발표, EU의 반보조금 조사에 따른 예비 조치 준비와 같은 최근 상황을 고려할 때 유럽과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CCCEU는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GT)의 류빈 중국 자동차기술연구센터 부소장 인터뷰도 “중요한 정보”라며 함께 소개했다. 같은 날 공개된 이 인터뷰에서 류 부소장은 “2500㏄ 이상 대형 엔진을 장착한 수입차의 관세 인상을 제안한다”며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상 최대 25%까지 임시 관세 인상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관세 인상 제안은 “탄소 중립 및 녹색 발전을 가속화하려는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과 EU를 겨냥한 듯 “(이번 조치는)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 취하는 보호주의 조치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덧붙였다.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2500㏄ 이상의 대형 엔진을 장착한 자동차를 25만 대 수입했다. 전체 수입 자동차의 32%가량이다. 중국 내 대형 엔진 장착 자동차 중 수입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80%에 달한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현재 중국 상무부는 유럽 지역에서 수입한 승용차에 15%가량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이번 발표는 미국이 지난 14일 중국산 전기차 관세율을 연내 25%에서 100%로 상향 조정하고, 중국산 배터리와 철강·알루미늄 관세도 최소 세 배 인상한 데 따른 보복 조치로 풀이된다. 180억달러(약 24조6000억원)어치 중국산 수입품이 이런 관세 인상의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다음달 28일까지 관세 인상이 미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관해 의견을 수렴한 뒤 8월 1일부터 해당 조치 중 일부를 발효할 예정이다.

작년 10월에는 EU가 중국산 전기차 보조금 조사에 착수했다. 이르면 오는 7월 본격 관세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세민/임다연 기자 unija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