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 흔드는 시 주석과 쫑 서기장 >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이 12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베트남 권력 서열 1위인 응우옌푸쫑 공산당 서기장과 회담에 앞서 손을 흔들고 있다. 시 주석은 이날부터 1박2일 일정으로 베트남을 방문해 응우옌푸쫑 서기장, 보반트엉 국가주석과 회담하고 팜민찐 총리도 만날 예정이다.  AFP연합뉴스
< 손 흔드는 시 주석과 쫑 서기장 >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이 12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베트남 권력 서열 1위인 응우옌푸쫑 공산당 서기장과 회담에 앞서 손을 흔들고 있다. 시 주석은 이날부터 1박2일 일정으로 베트남을 방문해 응우옌푸쫑 서기장, 보반트엉 국가주석과 회담하고 팜민찐 총리도 만날 예정이다. AFP연합뉴스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2일 베트남 권력 서열 1위인 응우옌푸쫑 공산당 서기장과 만나 양국 관계를 ‘인류 운명 공동체’로 재정립하자고 했다. 미국이 베트남과 관계를 격상한 지 불과 3개월 만이다. 시 주석이 베트남을 방문한 건 6년 만에 처음이다.

교통 인프라 보조금 등 원조

시 주석은 이날 베트남 하노이 주석궁에서 열린 환영식에 참석하고 쫑 서기장과 회담했다.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서기장은 나의 오랜 친구이자 좋은 친구”라며 “중국은 항상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베트남 관계를 바라보고 있으며 베트남을 주변국 외교의 우선순위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이어 “베트남이 사회주의 건설 사업을 계속 추진하는 것을 확고히 지지한다”며 “중국·베트남 양국 관계의 새로운 위치를 선포하고 중국·베트남 운명 공동체 구축을 위해 손을 맞잡기를 원한다”고 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베트남이 이날 공개한 성명에는 “중국과 베트남은 ‘인류 운명 공동체’ 건설 이니셔티브를 지지하기로 합의했다”고 적혀 있다.

로이터통신은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으로 갈등을 빚고 있는 중국과 베트남이 미국과 베트남이 공식 관계를 격상한 지 불과 3개월 만에 양국 관계를 강화한다고 선언했다”며 “중국은 ‘외교의 승리’로 볼 수 있는 37건의 협정을 체결했다”고 평가했다. 미국과 베트남은 지난 9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베트남 국빈 방문 당시 양국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로 격상한 바 있다.

중국과 베트남은 당초 45건의 협력을 논의했지만 37건에 대해서만 협정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는 국경 간 철도 개발에 대한 양해각서가 포함됐다. 중국은 시 주석의 이번 방문을 계기로 철도·고속도로 등 베트남의 교통 인프라 구축 사업에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교통 인프라는 베트남의 수출 역량 확대를 위한 핵심 자산으로 손꼽힌다.

중, 미·베트남 밀착 견제

시 주석이 올 들어 아시아 국가를 방문한 것은 베트남이 처음이다. 시 주석의 베트남 방문은 2015년과 2017년에 이어 세 번째다. 중국은 베트남의 최대 교역국으로, 양국의 지난해 교역액은 1756억달러(약 228조원)에 달한다.

일각에서는 시 주석의 이번 베트남 방문을 미국에 대한 견제 행보로 해석했다. 미국이 남중국해를 둘러싸고 중국과 베트남이 맞서는 상황에서 베트남에 대한 안보 지원을 강화하고 있어서다. 또 미국은 베트남과 반도체 파트너십을 체결해 베트남을 중국을 대체할 공급망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베트남은 미·중 무역 갈등의 최대 수혜국 중 하나다. 여러 다국적 기업이 공급망 안정을 위해 제조 시설과 투자처를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옮기고 있어서다. 미국뿐 아니라 미국의 동맹국들과도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달 27일 보반트엉 주석이 일본 도쿄를 방문해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회담한 게 대표적이다. 싱가포르 싱크탱크 ISEAS-유소프 이삭연구소의 례량푹 선임연구원은 블룸버그통신에서 “중국은 베트남이 다른 국가들과 밀착하지 않도록 압박하고 싶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미국·일본과 베트남의 밀착은 이들과 경쟁 관계에 있는 중국에는 부담이다. 중국과 베트남의 영유권 분쟁으로 갈등이 잦아지는 상황에서 미국과 일본이 이 틈을 파고들고 있어서다. 베트남은 중국과의 영유권 분쟁 지역인 난사군도에서 중국의 도발이 이어지자 중국이 베트남의 주권을 존중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하고 있다.

이에 일각에선 미국의 구애를 받고 있는 베트남이 안보 분야에서 일정 정도 중국의 양보를 받아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