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간밤 뉴욕 증시는 반도체주의 낙폭이 두드러진 가운데, 경제지표 호조에 따른 긴축 우려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GO WEST, 글로벌콘텐츠부 조연 기자와 함께 합니다.

조 기자. 오늘 빅테크 부진 속에서도 전기차 테슬라 주가가 또 다시 급락했습니다.

테슬라를 들고 있는 서학개미들로선 이제 장이 열리는게 두려울 정도인데요.

<기자>

그렇죠. 테슬라 주가 이날 하루 8.88% 떨어진 125.35달러에 거래를 장을 마쳤고, 전날에도 8% 하락했으니 2거래일간 주가가 17% 가까이 급락한 겁니다.

올 한해 전체로 살펴보면 64.4% 하락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S&P 500 기업 중 최악의 수익률을 나타낸 탑 10에 꼽히는 수준입니다.

탑 10에는 연초대비 65.18% 하락한 메타도 포함되어 있는데요. 연말까지의 주가 흐름에 따라 두 회사가 이 즐겁지 않은 경쟁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테슬라에 대한 좋은 뉴스가 있었나요?

<기자>

일론 머스크 CEO는 '앞으로 18~24개월 동안 테슬라 주식을 더 팔지 않겠다' 이렇게 트위터 채팅을 통해 밝혔는데요.

최근의 매각도 "잠재적인 경기 침체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 설명했습니다.

문제는 머스크가 지난 4월에도 "테슬라 주식 더이상 매각하지 않겠다"고 해놓고도 무려 4번 최근까지 계속 팔았다는 거죠.

<앵커>

지난주에 2천주 넘게 지분을 팔았다는 소식, 기억납니다.

<기자>

네. 올해 지분 매각은 모두 4번, 총 9420만여주, 230억달러에 가까운 테슬라 주식을 매도했죠.

이제 주가는 100달러도 위협받는 상황까지 내려왔고, 한 때 1조 달러를 넘겼던 테슬라의 시총은 4천억달러 수준입니다.

<앵커>

머스크의 이번 약속을 시장이 신뢰할지는 의문이네요.

그런데, 오늘 시장을 움직였던 데 머스크의 말보다 더 결정적인게 있었다고요?

<기자>

바로 테슬라 전기차에 대한 수요 감소 추세인데요.

이날 테슬라가 전격적인 세일 프로모션을 발표했습니다.

오는 31일까지 모델3와 모델Y를 구입할 경우 7500달러 할인 혜택을 제공하겠다고 밝혔죠. 우리 돈으로 1천만원 정도됩니다.

이미 이달 초 3750달러 할인이 시작됐는데, 두 배가 된 셈이죠.

12월 현재 미국 자동차 평균 할인폭이 1000달러 초반대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테슬라 판매가 그만큼 어려운가?'란 질문을 하게 됩니다.

월가에서도 테슬라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약해지고 있다는 신호로 봤는데요.

실제 테슬라의 신차 출시는 2020년 모델Y 크로스오버 이후 최근 대형 전기트럭 '세미'를 제외하고 없죠.

월가의 테슬라 목표가도 줄줄이 100달러 정도 크게 낮춰지는 모습입니다.

<앵커>

테슬라가 이렇게 연일 급락하면 또 떠오르는 인물이 있죠.

머스크가 팔 때도 테슬라 주식 매입을 늘리고 있는 캐시 우드인데요. 최악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죠?

<기자>

네. 시장에서도 "끔찍한 결과다. 큰 실망을 안겼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데요.

아크인베스트먼트가 운용하는 9개 상장지수펀드, ETF의 총 자산을 보면, 연중 최고치인 2월 603억달러에서 최근 114억달러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표 펀드 아크이노베이션 ETF(ARKK)의 주가는 올해 들어 66% 하락해 5년 내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고, IT기업에 투자하는 ARKW,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는 ARKG도 각각 68%, 54% 급락했습니다.

이에 모닝스타 투자전략가 로비 그린골드는 아크인베스트먼트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부정'으로 하향 조정하며, 캐시 우드가 CEO 자리에서 내려와야 한다고 주장했고요.

헤지펀드계 거물 대니엘 롭 서드포인트 창업자는 캐시 우드를 '멍청한 존버족(Stonk Hodler)'이라 정면 비판하며, 마이클 버리 역시 "캐시 우드의 추락은 그녀의 탐욕 때문"이라고 저격한 바 있습니다.

<앵커>

최근에 캐시 우드가 조용히 방한해서 국내 연기금과 공제회 등 큰 손들을 만나기도 했죠. 투자금 회수가 늘다보니 직접 움직인 것으로 보입니다.

자, 시장에서는 '머스크와 캐시 우드의 정반대 성향이 부상하고 있다'는데, 이게 무슨 뜻입니까?

<기자>

그러니까 머스크와는 상반되는 경영스타일을 가진 CEO, 그리고 캐시 우드와 투자성향이 정반대인 투자 대가를 주목한다는 이야기인데요.

먼저 저희가 너무 잘 아는 '가치투자의 아버지' 워런 버핏과 캐시 우드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좀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각각 성장주와 가치주의 대표로 흔히 꼽히는데요.

워런 버핏의 포트폴리오에는 애플이 단연 가장 크게 자리하고 있고, 그 뒤로 뱅크오브아메리카, 코카콜라, 셰브론, 아메리칸익스프레스 등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캐시 우드는 테슬라와 줌, 로쿠, 그리고 블록과 코인베이스가 뒤따르고 있죠.

<앵커>

버핏의 포트폴리오는 아무래도 우리가 실생활에서 가까이 쓰이는 기업들이 주로 자리하고, 캐시 우드는 여전히 기술주 편향이 뚜렷해 보입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미국 투자전문매체 머니와이즈는 "내년 경기 침체가 우려된다면, 버핏의 베팅을 따라할 시점"이라고 조언을 했는데요.

1965년부터 2021년, 지난해까지 버핏의 투자회사, 버크셔 해서웨이의 연간 평균 수익률은 20.1%로, S&P 500의 평균수익률 10.5%를 두 배 웃돌고 있습니다.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애플이 40%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사실 애플은 올해들어 27% 떨어졌죠.

그리고 10% 보유하고 있는 뱅크오브아메리카 역시 올해 30%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합쳐서 50%를 차지하는 이 두 주식이 하락했는데도, 버크셔해서웨이 주가는 플러스 수익률을 나타내고 있거든요.

키는 바로 분산투자입니다.

보시면 올해 놀라운 수익률을 나타낸 에너지주, 셰브런과 옥시덴탈 페트롤리엄이 보유 상위주에 자리하고 있죠. 올해 셰브론은 44%, 옥시덴탈은 100%, 주가가 2배 뛰었습니다.

<앵커>

고금리 시대가 한동안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만큼 기업에 대한 냉철한 분석, 그리고 투자의 정석 '분산투자'가 다시 중요해지는 시점이군요.

그렇다면 머스크의 정반대, 시장이 주목하는 CEO는 누구입니까.

<기자>

바로 머스크를 제치고 세계 부자 1위 자리를 차지한 루이비통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인데요.

포브스에 따르면 아르노는 1862억달러, 우리 돈으로 약 237조여원의 자산가치를 평가받아 세계 1위 부호가 됐습니다.

명품 옷과 술, 보석, 시계까지 고급 브랜드를 갖고 있는 루이비통이 상대적으로 코로나 영향을 덜 받았다는 분석인데요.

'지구 최고 부자' 왕좌에 앉았지만, 아르노 회장은 머스크나 제프 베이조스처럼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마흔살 때인 1989년에 회장이 됐는데도, 언론 등 외부에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았죠.

LVMH는 지난 2년 놀라운 성과를 거뒀는데요. 2021년에는 42% 상승했고, 올해는 0.1% 상승, S&P500이 16.7% 하락하는 동안 선방했습니다.

월가의 전망도 좋은데요. 코웬의 애널리스트, 올리버 첸은 "루이비통의 고급 고객들은 인플레이션 압력의 영향을 덜 받고 명품 수요는 여전히 견고하다"고 했고, BofA 증권은 "북미에서 지속적 성장, 유럽에서 개선, 특히 중국 경제 재개의 힘입어 향후 12개월동안 주가가 최대 30%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죠. 조 기자. 잘 들었습니다.


조연기자 ycho@wowtv.co.kr
머스크·캐시우드 동반 추락..."아르노·버핏에 투자하라" [GO W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