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기술 패권 잡아라'…日정부·대기업 50곳 공동개발 나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달 중 민관 합동 양자기술 협의체 발족
日정부 주도로 중국에 뒤진 실용화 서둘러
日정부 주도로 중국에 뒤진 실용화 서둘러

5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이달 중 발족하는 민관 협의회에는 도요타, 도시바, NEC, 후지쓰, 히타치, NTT그룹 등 분야별 대표기업 50여곳이 참여한다.
ADVERTISEMENT
미국과 협력해 양자기술 분야에서도 중국을 견제하는 구상도 검토되고 있다. 지난달 16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일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공동성명을 통해 "양자과학의 연구 및 기술개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협력한다"고 밝혔다.
양자기술은 특수한 물리 법칙인 양자역학을 고속연산과 통신분야에 활용하는 기술이다. 컴퓨터 처리 능력과 암호, 통신, 센서 기술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신약, 신소재, 금융상품 개발 등 다양한 영역에 활용할 수 있다.
ADVERTISEMENT
일본은 안보 분야에 활용도가 높은 양자통신·암호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고 있다. 도시바의 양자통신·암호 하드웨어 관련 특허건수는 세계 1위이고 NEC와 NTT도 세계 최대 규모의 관련 특허를 갖고 있다.
반면 기술을 실용화하는 측면에서는 중국에 뒤처져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국은 국가 주도로 이미 베이징과 상하이간 2000㎞에 걸쳐 양자암호 통신망을 깔았다.
ADVERTISEMENT
미국도 정부 주도로 양자기술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미 정부는 지난해 6억달러(약 6756억원)를 투자해 복수의 국립연구소에 양자기술 연구센터를 설치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IBM과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 정보기술(IT) 대기업들도 정부 구상에 동참하기로 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