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기사 내용은 무관./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과 기사 내용은 무관./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 경기가 냉각 조짐이 나타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이 고개를 들어 1970년대 스타일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주가의 두 자릿수 급락을 촉발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13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시장 분석 업체 세븐스리포트 리서치 설립자 톰 에세이(Tom Essaye) 대표는 메모를 통해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이 1970년대만큼 나쁘지 않더라도, 순익의 21배 이상의 주가로 거래되는 주식시장에선 작은 스태그플레이션에도 10~20%의 주가 하락이 초래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S&P500 지수는 올들어 10% 이상 상승했고 12개월 선행 순이익 대비 주가 비율은 21.5배에 달한다. 인플레이션이 하락세를 멈추고 현시점에서 반등의 조짐이 뚜렷하게 보이고 있어,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주가가 급락할 수 있다는 얘기다. 국채 수익률이 장기간 지금처럼 높은 수준에서 형성된다면 주식에 투자할 유인이 줄어든다.

스태그플레이션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 둔화가 결합한 상황이며, 1970년대 대부분 기간에 미국 경제를 어렵게 만들었다. 지난 3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보다 크게 오르면서 주식시장에선 미국 경제가 비슷한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만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은 4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책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지만, 경제에 스태그플레이션 징후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에세이 대표는 "국내총생산(GDP) 성장이 정체되거나 마이너스였고 물가상승률이 10%를 넘었던 1970년대와 비교하면 스태그플레이션이 없다는 파월의 주장은 절대적으로 옳다"면서도 "상황이 1970년대만큼 나쁘지 않다고 해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어떤 이야기도 타당하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했다.

중동 이슬람 국가들은 1970년대 욤 키푸르 전쟁(4차 중동전쟁) 당시 이스라엘을 지원한 미국에 대해 석유 금수조치를 단행했다. 석유 파동으로 미국은 두 자릿수 물가 상승률을 경험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