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구글’로 불리는 검색기업 바이두의 주가가 3분기 호실적에 힘입어 상승했다. 바이두는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가 자사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어니봇에 당분간 큰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전망이라고 했다.

바이두 주가는 22일 홍콩증시에서 전날보다 4.47% 오른 112.2홍콩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전날인 21일(현지시간) 미국 나스닥시장에서는 장중 한때 4% 이상 뛰었다가 1.91% 오른 113.42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바이두 주가가 상승한 이유는 21일 공개된 3분기(7~9월) 실적이 시장 예상을 웃돌아서다.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한 344억5000만위안(약 6조3000억원)이었다. 전 분기 증가율(15%)보다는 낮지만, 애널리스트의 예상치(343억3000만위안)를 웃돌았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66억8000만위안(약 1조2200억원)으로 전 분기(52억1000만위안)보다 28% 늘었다. 바이두는 지난해 3분기엔 적자를 냈다.

시장에서는 바이두의 생성 AI 사업과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의 여파에 주목하고 있다. 바이두는 자사의 생성 AI인 어니봇 등을 포함한 연구개발(R&D) 비용이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한 61억달러(약 7조9000억원)였다고 발표했다. 리옌훙 바이두 최고경영자(CEO) 겸 공동 창업자는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가 단기적으로 바이두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바이두는 앞으로 1~2년 동안 어니봇 성능을 개선하는 데 쓸 수 있을 만큼 충분한 AI 반도체를 보유하고 있다”고 했다.

이고운/김동주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