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런 "美 국채 금리 오르는 건 경기 호황 때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날 블룸버그에 따르면 옐런 장관은 블룸버그 워싱턴 포럼에서 "미국의 재정적자와 국채 금리 급등 사이에 큰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는다"며 "대부분 선진국에서 국채 금리가 치솟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채 금리가 상승하는 현상은 경제가 회복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덧붙였다. 재정 적자로 국가 부채 발행이 예상되면서 금리가 치솟았다는 주장을 부인한 것이다.
ADVERTISEMENT
성장세를 이끈 것은 소비 시장이었다. 3분기 소비자 지출은 4% 증가해 전 분기(0.8%)에 비해 큰 폭으로 확대됐다. 통화 긴축 정책이 이어지면서 하반기 소비가 둔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지만, 실제 지표는 소비가 더 늘었음을 보여줬다. 옐런 장관도 이 지표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옐런 장관은 "미국 경제는 계속해서 견고한 모습을 보인다"며 "이는 금리가 장기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ADVERTISEMENT
다만 파월 의장은 "국채 금리가 치솟은 것은 단순히 경기 호조로만 해석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잠재적으로 중립금리(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압력 없이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금리 수준)가 평균값으로 수렴하게 하는 기간 프리미엄(만기가 긴 채권에 추가로 요구되는 금리 수준)이 작용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옐런과 달리 국채 금리 상승 요인을 복합적으로 분석한 셈이다.
시장에서는 여전히 연방 정부의 재정 적자가 국채 금리 급등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미국 정부의 재정적자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며 국채 시장의 우려를 증폭시켰다. 재무부가 국채 공급량을 늘려 채권 가치 하락(금리 상승) 폭을 더 키울 것이란 관측이다.
ADVERTISEMENT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