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제 결제 시장에서 '킹달러'로 불리는 미국 달러화의 입지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 행정부의 잇단 경제 제재에 불만을 품은 개발도상국·신흥국들을 중심으로 일종의 '반(反)달러 연대'를 결성하면서다. 디지털 위안화 등을 전격 도입하며 글로벌 결제 시스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중국은 이 기회를 통해 달러화의 지배력을 약화시키려 하고 있다.

아르헨티나는 24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새로 구제금융을 받아 최근 중국에서 빌린 위안화 차입금을 상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르헨티나는 지난달 말 디폴트(채무불이행) 위험에 직면했다. 과거 IMF로부터 받았던 총 440억달러 규모의 차관에서 일부(27억달러) 상환일이 임박했지만, 갚을 능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물가상승률이 100%를 넘는 초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아르헨티나 외환보유고에는 달러가 바닥난 상태다. 순외환보유액은 80억달러 이상 적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간절한 아르헨티나에 손을 내민 것은 중국이었다. 아르헨티나는 위안화와 통화 스와프(두 국가가 현재의 환율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돈을 상대국과 교환)를 맺어 IMF 차관의 일부(17억달러)를 상환하고 디폴트를 모면했다. 세르히오 마사 아르헨티나 경제장관은 "우리는 현재 외환보유고에 있는 달러화에는 단 1달러도 손을 대지 않고 이번 문제를 해결했다"고 강조했다. 24일 발표는 이처럼 지난달 말 중국에 진 빚을 최근 IMF로부터 추가로 받은 75억달러가량의 금융 지원금을 통해 갚기로 했다고 밝힌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와 관련해 "중국 위안화가 달러화에 반감을 품은 국가들의 빈틈을 파고들어 세력을 키우고 있다"고 전했다. 아르헨티나의 한 고위급 경제 관료는 "(우리가 IMF에 위안화로 대금을 상환한 것은) 국제 금융 시스템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의미"라며 "이러한 추세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결코 되돌릴 수 없는 영구적인 변화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된 이유는 미국 행정부의 경제 제재다. 달러화가 국제 무역과 금융에서 차지하는 지배력이 막강한 상황에서 미국 정부가 제재를 가하면 그만큼 타격이 심각할 수밖에 없다.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실(Ofac)의 제재 대상 개인 및 단체 목록에는 현재 1만2000개 이상의 제재 대상이 나열돼 있다. FT는 "미국 대통령들이 외교안보적인 사안에서도 '저비용', '무혈' 해결책으로 경제 제재를 선호하면서 지난 10년 새 제재 대상이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우리도 美 제재 받으면 어쩌나"…두려움이 脫달러화 부추긴다
영국 왕립국제문제연구소의 크리스토퍼 사바티니 중남미연구원은 "세계 경제의 4분의1이 어떤 형태로든 미국 등 서방의 제재를 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미국의 제재가 언제든 자신들을 겨냥하는 칼날이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생기면 (지배적인 달러화에 관한) 판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중국은 이 같은 균열점을 파고들어 위안화의 위상을 끌어올리고 있다. 미국이 중국에 금융 제재를 가할 경우를 대비해 '글로벌 위안화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작년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가 미국으로부터 경제 제재를 받은 뒤 중국의 탈달러화 시도가 더욱 노골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 중국 관료는 FT에 "미국은 재정적 힘을 지정학적 무기로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 달러화의 헤게모니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미국이 결제 시스템을 통해 개도국을 제재 대상으로 삼는다면 우리도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