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다. 물가상승률이 제자리걸음을 하는 가운데 경제성장률까지 부진하자 중국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빠져들 것이라는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대중(對中)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6.3%로 집계됐다고 17일 발표했다. 로이터통신(7.3%), 중국은행연구원(7.6%) 등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에 크게 못 미쳤다.

중국의 올 2분기 성장률 6.3%는 수치만 놓고 보면 2021년 2분기(7.9%) 후 가장 높다. 올 1분기 4.5%에 비해서도 올라갔다. 그러나 비교 대상인 작년 2분기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 아래 상하이, 지린성 등을 봉쇄하면서 성장률이 0.4%에 그쳤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부진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중국 경제의 성장 모멘텀이 급속하게 둔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 분기 대비 2분기 성장률은 0.8%로 1분기 2.2%에서 급락했다.

중국 내수 경기를 보여주는 부동산 투자 증가율은 상반기에 -7.9%로 떨어졌다. 6월 소매판매 증가율은 3.1%로 5월 12.7%에서 급락했다. 미래 성장률을 갉아먹는 요인으로 꼽히는 청년실업률은 6월 21.3%로 역대 최고치를 또 경신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경제 버팀목 역할을 하던 수출도 5~6월 두 달 연속 감소했다.

중국의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0%,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5.4%를 기록했다. 경기 둔화 속에 중국의 수입은 지난 6월까지 9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 여파로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수출도 9개월 내리 줄었다. 한국 수출의 중국 의존도는 올 상반기 19.6%였다. 2018년 26.8%로 고점을 찍고 내려가는 추세로, 중국의 저성장 장기화에 대비해 수출 다변화에 더욱 속도를 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