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애플과 인텔의 실적 호조에 관련주가 크게 오르면서 강한 상승세를 보였다.

28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828.52포인트(2.59%) 상승한 32,861.80으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3.76포인트(2.46%) 오른 3,901.06으로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09.78포인트(2.87%) 오른 11,102.45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애플과 인텔의 실적 호조에 관련주가 크게 올랐다. 시장 분위기도 호전되면서 증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앞서 최근 며칠간 대형 기술 기업들의 실적은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했었다. 이날 주가 반등에 힘입어 다우지수는 이번 주 5.72%, S&P500지수는, 3.95% 각각 올랐다. 나스닥지수는 2.24% 상승했다.

애플과 인텔은 시장의 예상치를 웃도는 매출과 순이익을 발표했다. 애플은 주가가 7% 이상 올랐다. 인텔은 10% 이상 상승했다. 두 종목은 모두 3대 지수에 나란히 편입된 종목이다. 매출이 예상치를 밑돈 아마존의 주가는 10% 하락했으나 낙폭을 6.8%로 줄였다.

이날 발표된 연준 선호 물가 지표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미 상무부가 발표한 9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는 지난해보다 6.2% 상승했다. 근원 PCE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5.1% 올랐다.

물가 상승세는 연준의 목표치인 2%를 크게 웃돈다. 다만 이날 발표된 지표 중 9월 개인소비지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0.6% 늘어났다. 이는 소비가 여전히 미국 경제를 떠받치고 있음을 나타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이날 CNN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미국은 완전 고용 경제 상태에 있다"며 "현재 경제에 경기침체 신호는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브라이언 모이니한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경제는 성장률 둔화나 마이너스 성장을 겪고 있는 것이 아니라 성장률이 약간 낮아지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연준의 공격적 금리 인상이 막바지에 다다랐다는 기대가 주가를 부양했다고 분석했다. LPL파이낸셜의 제프리 로치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마켓워치에 "연준이 아직 근원 인플레이션의 지속적인 추세를 깨지 못해 다음 주 회의까지 공격적인 기조를 유지할 것 같다"면서도 "경제의 일부 영역은 상당한 약세를 보이고 있어, 내년 연준이 더 작은 폭의 금리 인상으로 돌아설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11월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84.5%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64포인트(5.99%) 하락한 25.75를 나타냈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