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등하는 국제유가. / 자료=한경DB
급등하는 국제유가. / 자료=한경DB
뉴욕증시에서 주요지수들은 미국과 영국의 러시아산 원유 금수 조치에 급등한 국제 유가로 인해 하락했다.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주가는 하락 압력을 받았다.

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84.74포인트(0.56%) 하락한 32,632.64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0.39포인트(0.72%) 떨어진 4,170.7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5.41포인트(0.28%) 밀린 12,795.55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국제 유가는 미국과 영국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배럴당 120달러를 돌파했다. 러시아도 에너지 수출금지로 맞대응하면서 증시는 결국 하락 마감됐다. 업종별로 필수소비재, 헬스, 유틸리티 관련주가 1% 이상 하락했다. 에너지, 임의소비재 관련주는 상승했다.

국제유가는 장중 8% 넘게 상승하는 등 민감한 모습을 나타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3.6%(4.30달러) 상승한 123.70달러를 나타냈다. 장중 한때 조 바이든 대통령이 러시아 원유 금수 조치를 발표할 것이라는 소식에 전날보다 8% 이상 상승한 129.44달러까지 올랐다. 브렌트유 또한 장중 8% 상승한 배럴당 133.13달러까지 급등했다.

미국의 휘발유 가격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미 자동차협회(AAA)에 따르면 이날 미국 전국 휘발유 평균 가격은 갤런당 4.173달러를 보였다. 이는 이전 최고치인 2008년 7월 기록한 4.114달러를 넘어선 수준이다.

여기에 석유와 천연가스, 니켈, 팔라듐 같은 원자재 가격을 비롯해 밀 등 곡물가격까지 폭등하고 있다. 추가적인 물가상승 가능성이 커지면서 주요 지수들은 장중 반등하기도 했지만 이내 힘을 잃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최고 1.87% 수준까지 치솟았다. 전날 기록한 1.77% 수준을 다시 갈아치웠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32포인트(3.62%) 하락한 35.13을 기록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