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산연, 건설산업 ESG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 개최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7일 서울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건설산업 ESG 현재와 미래’ 세미나를 열고 최근 ESG(환경·사회·거버넌스) 확산이 건설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건설산업 차원의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

건설산업은 건축과 생산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데다가 각종 인프라를 공급하는 산업 특성상, ESG 이슈의 영향이 크다. 건산연은 건설산업 ESG를 주요 특화 연구 중 하나로 선정해 기업과 산업을 넘어 국가 차원의 미래 성장을 위한 필수 요건으로 건설업 ESG 경영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이충재 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건설산업 내 ESG 확산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건설산업에 참여하는 다양한 주체들이 이해와 협력에 기반한 ESG 경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금일 세미나가 건설산업의 ESG 경영의 현재를 살펴보고, 향후 ESG의 올바른 건설산업 내 정착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김영덕 선임연구위원은 건설산업 ESG 확산을 위한 건설업 맞춤 ESG 가이드라인을 강조했다. 그는 “최근 사회, 경제적인 ESG 확산 움직임과 건설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ESG의 산업 내 정착을 위해선 건설기업 등 건설조직의 ESG 체화를 유도하는 가이드라인 구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국ESG기준원 평가결과 건설기업 대부분 B 등급 이하 수준으로, 규모가 작을수록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건설산업의 적극적인 ESG 대응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게 김 선임연구위원의 판단이다.

그는 발표에서 건설산업 ESG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가이드라인 초안은 환경, 사회 그리고 거버넌스 부문별 건설산업의 특성과 핵심 요구사항을 반영한 환경부문 7개, 사회부문 7개, 거버넌스 부문 4개 등 18개 활동 영역과 86개 항목이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국내외 ESG 관련 이슈의 동향 및 건설산업 영향 분석과 ESG 성과측정에 사용되는 국내외 평가지표 및 건설산업 등 업종별 지표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가이드라인 초안을 구성했다”며 “향후 추가적인 ESG는 물론, 건설산업 내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하여 항목을 수정, 보완하여 매뉴얼 등으로 보급할 계획이다”라고 설명했다.

이홍일 연구위원은 제2주제 “건설산업의 환경 분야 주요 이슈와 대응 방향”을 통해 건설기업의 ESG 환경경영 4대 주제(Topics)와 주요 대응전략 방향을 제시했다. 이 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은 생산과정 자체가 자연을 일정 부분 훼손하는 특성이 있고, 도시 고형폐기물 중 40% 이상이 건설 및 철거 폐기물인 것을 비롯해 오염물질 배출이 많은 산업으로 환경경영이 중요한 산업”이라며 “건설산업의 전 생애주기 과정 동안 배출되는 탄소가 전 세계 탄소배출의 약 37%를 차지해 향후 탄소배출 감축이 건설기업의 주요 환경경영 주제가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환경경영 4대 주제(Topics)를 ‘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 ‘자원 및 에너지 사용량 최소화’, ‘자연환경 및 생물다양성 보존’, ‘친환경 건설상품 생산 및 친환경자재 사용’으로 제시했다.

환경경영 대응 방향으로는 개별 건설기업 단위의 탄소배출 감축, 건설상품 전 생애주기 단위의 탄소배출 감축, 탄소배출 저감형 건설상품시장의 성장 대응(녹색건축 등), 생물성 다양성 보존 위한 관리방안 마련 등을 제시했다.

마지막 주제발표를 맡은 최은정 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이 가지는 특성으로 ESG의 사회(S)와 거버넌스(G) 이슈는 더욱 중요해져 가고 있다”며 “환경, 사회, 거버넌스는 별개의 개념이 아닌 ESG 경영을 위한 유기적 관계로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연구위원은 “지속되는 불공정 관행과 건설안전사고, 생산성 저하 등 건설산업이 직면한 당면현안이 많아 건설산업의 혁신 필요성이 강력히 대두되고 있다”며 “건설기업 경영의 투명성 제고와 윤리문화 정착에 대한 외부의 요구가 계속되고 있어 건설기업 자체의 노력뿐만 아니라 산업 차원의 대응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했다.

그는 “현재는 대형건설업체 위주로 관련된 활동이 진행되고 있어 건설산업 전반에 걸친 사회와 거버넌스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연구위원은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한 ESG 사회 부문의 10대 핵심 과제 40개 세부 실천 과제, 그리고 거버넌스 관련 3대 핵심 과제 등도 제시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