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기를 막기 위해 지구에 전달되는 태양열을 아예 차단하는 기술을 도입하자는 제안을 놓고 논란이 벌어졌다. 단기간에 지구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최고의 임시방편이라는 찬성론과 더 심각한 기상이변을 불러올 것이란 반대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31일(현지시간) “전 세계 기후 과학자들이 앞다퉈 개발에 나선 태양복사관리(SRM) 기술을 둘러싼 논쟁이 격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SRM은 지구공학계에서 논의돼 온 지구온난화 방지 대책 중 하나다.

지표면 온도를 직접 낮출 수 있는 방편으로 성층권에 수백만t의 에어로졸(미세입자)을 분사해 태양열을 막는 기술이 대표적이다. 헬륨과 이산화황으로 가득 찬 대형 풍선을 상공으로 쏘아올린 뒤 터뜨리면 방출된 이산화황이 산화돼 태양 복사열을 일부 차단하는 황산염 입자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다는 구상이다.

다니엘레 비니 미국 코넬대 지구대기과학과 부교수는 “기후 과학자가 있는 거의 모든 국가가 SRM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각국 정부가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탄소 감축을 논의하고 있지만 뚜렷한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SRM이 직접적이고 과감한 기술로 주목받는다는 설명이다. 최근 유엔환경계획(UNEP)은 SRM에 관한 보고서에서 “SRM 기술은 단기간에 지구를 식힐 유일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비효율적이거나 오히려 대기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비판이다. 이들은 SRM 기술에 대해 “하늘의 색을 유백색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거나 “날씨 패턴을 예측 불가능하게 만들 수도 있다”고 우려한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