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석유 공룡’ 엑슨모빌이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리튬 생산에 뛰어든 가운데 세계 최대 규모의 리튬 가공 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다. 중국이 장악하고 있는 리튬 가공 시장에 변화가 일어날지 주목된다.
美, 세계 최대 리튬 가공공장…中은 아프간 리튬 채굴권 싹쓸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엑슨모빌이 아칸소주(州) 남부 지역인 매그놀리아 인근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리튬 가공 공장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고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곳에는 연간 7만5000t에서 10만t 규모의 리튬을 가공할 수 있다. 이는 지난해 전 세계에서 가공 완료된 리튬의 약 15%에 해당한다.

엑슨모빌은 지난 5월 리튬 채굴을 위해 미국 아칸소주 남부에 있는 12만 에이커(약 485.6㎢) 규모의 리튬 매장지를 갈바닉에너지(Galvanic)로부터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WSJ에 따르면 거래 가격은 1억달러(약 1320억원) 이상이다.

엑슨모빌은 이곳에서 채굴한 리튬을 가공할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소식통은 “가공 공장 프로젝트는 단계적으로 진행될 것”이라며 “리튬 매장지 근처의 별도 장소에 지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엑슨모빌은 향후 몇 개월 내에 이곳에서 리튬 채굴을 시작하고, 수익성이 입증되면 채굴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곳에는 400만t의 탄산화 리튬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약 5000만 대의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하얀 석유’로 불리는 리튬은 전기차 배터리 원가의 40%를 차지하는 핵심 광물이다. 리튬산업은 리튬 정광을 채굴하거나 염호(소금물 호수)에서 리튬을 뽑아내는 원재료 생산과 이를 제련해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는 공정 등으로 나뉜다. 염호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작업은 원유 시추 및 배관 추출, 가공 작업과 비슷하다는 점에서 석유기업에 유리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엑슨모빌이 본격적으로 리튬 채굴 및 생산, 가공에 뛰어들면서 중국이 장악하고 있는 시장 판도에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세계 각국에서 채굴된 리튬은 저렴한 생산비와 낮은 환경 기준을 갖춘 중국으로 운반된 뒤 리튬 화합물로 제련되고 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앞세워 반전을 노리고 있다. IRA 보조금을 받으려면 북미 또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국가에서 조달한 원료를 사용해야 한다.

WSJ는 “미국이 중국 등에 대한 리튬 의존도를 낮추려면 아칸소 남서부에서 리튬 생산을 이끌어 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엑슨모빌이 리튬을 생산하면 IRA를 통해 10%의 세액 공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매장량 1조弗 '리튬계 사우디'…중국인들, 광산 쇼핑·밀수 나서
中, 미군 철수후 탈레반과 밀착…인프라 지어주고 광물자원 노려

중국이 막대한 규모의 리튬이 매장된 아프가니스탄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탈레반 정부도 서방의 제재 등으로 경제난이 더욱 심각해지자 중국과의 자원 거래로 활로를 찾으려는 분위기다.

20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을 비롯한 외신 매체에 따르면 최근 아프가니스탄 현지에 중국 민간사업자들이 리튬 채굴에 혈안이 돼 있다.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자주 나타나는 지역에서도 주요 매장지를 돌아다니며 리튬 채굴 가능성을 살피는 것으로 알려졌다.

리튬은 전기차,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전자기기 배터리의 핵심 소재다. 중국을 포함한 각국 정부는 전 세계에 퍼져 있는 리튬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리튬 가격과 규모에 따라 기업의 제품 생산량과 투자 비용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올해 1월 탈레반 정부 관계자들은 코나르 지방에서 파키스탄을 거쳐 중국으로 리튬 광석 1000t을 밀반입한 혐의로 중국인 사업가를 체포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 현지인은 중국인들의 리튬 채굴에 대한 집착을 ‘19세기 골드러시’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미 국방부가 10년 전 지질학자들을 동원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에 매장된 리튬 등 광물 가치는 1조달러가량이다. 미 국방부는 이 때문에 아프가니스탄을 ‘리튬의 사우디아라비아’라고 부르기도 했다. 미국은 한때 리튬 주요 매장지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를 출판하며 아프가니스탄이 “세계에서 인정받는 미래의 주요 리튬 공급원으로 고려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중국인이 나타나기 시작한 시점은 2021년 미군이 철수한 후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하고 나서부터다. 미국을 포함한 서방 정부들은 인권 문제 등을 이유로 아프가니스탄을 경제적으로 고립시켰다. 반면 중국은 이 틈을 타 적극적으로 아프가니스탄과의 경제 협력을 추진했다.

중국은 리튬 채굴권을 확보하는 대가로 아프가니스탄에 각종 인프라 건설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의 광물·석유부는 지난달 13일 중국 기업 고친이 아프가니스탄 리튬 개발에 100억달러를 투자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발표했다.

샤하부딘 델라와르 광물·석유부 장관 대행은 수도 카불에서 고친 측 대표단과 직접 만나 이에 대해 논의했다. 광물·석유부는 “이번 투자는 12만 개의 직접 일자리와 약 100만 개의 간접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친은 이번 개발을 위해 수력발전소를 별도로 짓고 도로도 건설할 것으로 알려졌다.

신정은 기자/뉴욕=박신영 특파원 newyear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