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REUTERS
사진=REUTERS
뉴욕증시는 다음 날 독립기념일 연휴를 앞두고 관망세 속에서 소폭 올랐다. 테슬라가 7%가량 오르면서 시장의 강세 분위기는 유지됐다. 금융시장 휴장을 하루 앞둔 만큼 이날 뉴욕증시는 오후 1시에 조기 폐장했다.

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87포인트(0.03%) 상승한 3만4418.47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21포인트(0.12%) 상승한 4455.59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8.85포인트(0.21%) 오른 1만3816.77로 거래를 마쳤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이날 뉴욕증시에서는 6월 ISM 제조업지수가 둔화되는 등 경기 위축이 지속되는 가운데 금융주와 전기차 업종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업종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등 차별화가 진행된 점이 특징"이라며 "특히 헬스케어 업종이 부진한 가운데 대형 기술주가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며 하락해 지수 상승을 제한한 점도 부각된다"고 밝혔다.

투자자들은 이번 주 예정된 고용 보고서를 앞두고 제조업 지표 등에 주목했다.

미국의 고용 지표가 강한 모습을 유지하면서 하반기 연착륙 기대가 커졌지만 이날 발표된 제조업 지표로 이러한 기대를 한풀 꺾었다. 다만 테슬라 등 전기차 기업들의 주가가 오름세를 보이면서 시장의 강세 흐름은 유지됐다.

S&P 글로벌이 발표한 미국의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6.3으로 최종 확정됐다. 이는 예비치와 같은 것으로 전달의 48.4에서 하락한 것으로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6월 제조업 PMI는 46.0으로 전달의 46.9에서 하락했으며, 시장의 예상치인 47.3도 밑돌았다. 이날 수치는 2020년 5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기술적 지표들도 경기 침체 우려에 힘을 더하고 있다. 이날 한때 미국의 2년물과 10년물 금리 역전폭은 -110bp(1.1%포인트)로 1981년 이후 최대로 벌어졌다. 장기 금리가 단기 금리를 밑도는 수익률 역전은 통상 채권시장에서 경기 침체의 신호로 해석된다.

한편 이날 미 증시에서 테슬라는 2분기 차량 인도 실적 호조에 6.9% 올랐다. 테슬라는 2분기에 46만6000대의 차량을 인도했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83% 증가한 것이다. 시장의 예상치는 44만5000대였다.

리비안도 예상치를 웃돈 차량 인도 실적을 발표하면서 17% 이상 올랐다. 중국 업체인 샤오펑도 뉴욕장에서 전 분기 대비 차량 인도량이 늘었다는 소식에 4% 넘게 상승했다.

한편 지난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시가총액 3조달러를 돌파했던 애플 주가는 0.8%가량 하락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