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사진)가 “임금 인상이 인플레이션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기업들의 행동에 따라 일본은행의 물가 예측이 빗나가고, 통화 정책의 효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취지다.

우에다 총재는 25일(현지시간) 도쿄의 일본은행 본사에서 파이낸셜타임스(FT), 블룸버그통신 등 일부 외신과의 그룹 인터뷰를 갖고 “우리(일본은행)의 물가상승률 예측이 틀릴 위험은 제로(0)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우에다 총재의 외신 인터뷰는 취임 후 처음이다.

그는 기업들의 행동이 통화정책의 핵심 변수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우에다 총재는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는 움직임이 있다”며 “기업들은 다른 모든 기업들과 같이, 노동력을 잡아두기 위해 임금을 올릴 필요성이 있다고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일본의 임금 인상률은 30여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일본 최대 노조인 렌고가 춘계 임금협상(춘투) 상황을 점검한 결과 임금 인상률은 평균 3.8%로 집계됐다. 1993년(3.9%)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주요 대기업들은 잇달아 노조의 임금 인상 요구를 100% 받아들였다.

정부가 고물가 상황에 상응하는 임금 인상을 요청한 결과다. 일본 물가는 일본은행의 목표치인 2%를 웃도는 수준에서 머물고 있다. 특히 지난 4월에는 신선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2년 만에 처음으로 4% 넘게 올랐다.

우에다 총재는 “임금 인상 자체는 일본은행의 목표가 아니다”라며 “통화정책 결정의 핵심은 2% 물가상승률이 얼마나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하게 유지되는지에 있으며, 임금 인상은 여기에 자연스럽게 수반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그는“물가 전망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금리 정책이 늦어지거나 빨라질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임금 인상에 따른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크다는 지적이다.
우에다 총재 "임금 인상으로 인플레이션 지속성 커질 수 있어"
우에다 총재는 “물가 수준을 사전에 예측하는 건 상당히 어려운 일이지만, 가격의 패턴에서 구조적인 변화가 감지되면 가능한 한 빨리 대응할 것”이라는 의지를 밝혔다. 물가 상황에 따라 수십 년간 유지해 온 통화정책의 방향을 틀 수 있다는 의미다. 그는 “미국이나 유럽과 달리 일본의 인플레이션은 호텔, 택시 등 가격 상승세가 비교적 약했던 서비스 부문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의 강도와 범위, 지속가능 여부를 꾸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일본은행이 긴축으로 돌아서는 시점이 ‘임박’하지는 않았다는 판단이다. 우에다 총재는 “생활비 상승은 ‘비용상승 인플레이션’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며 전 세계적인 긴축 흐름에 당장 동참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에너지 가격 상승세가 진정되고 있어 가을로 넘어갈수록 물가 상승 속도는 느려질 것으로 보고 있지만, 그 이후 상황에 대해선 확신할 수 없다”면서 “한 가지 확실한 건 인플레이션이 다시 강화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이라고 말했다.

우에다 총재는 “기존 통화정책의 이익과 부작용 간 균형에 변화가 생긴다면 정책 조정이 있을 수 있다”며 “검토 과정에는 12~18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그 기간 내에 필요에 따라 정책 변경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구체적인 정책 변경이나 재평가는 아직 염두에 두고 있지 않다”고 거듭 강조했다.

우에다 총재는 “기존 통화정책의 이익과 부작용 간 균형에 변화가 생긴다면 정책 조정이 있을 수 있다”며 “검토 과정에는 12~18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그 기간 내에 필요에 따라 정책 변경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구체적인 정책 변경이나 재평가는 아직 염두에 두고 있지 않다”고 거듭 강조했다.

시장에선 일본은행의 정책 기조 변경을 점치는 신호들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골드만삭스와 BNP파리바는 오는 7월 일본은행이 국채 금리를 일정 수준으로 통제하는 수익률곡선 통제(YCC) 정책을 조정할 것으로 예상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