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ANG(페이스북(현 메타), 애플,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의 시대는 지고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 주식시장을 지배하는 시대가 열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애플·MS 시대…S&P500 비중 13% 돌파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0일 기준 애플과 MS의 시가총액을 합쳤을 때 S&P500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3.25%까지 높아진 반면 다른 기술주들의 영향력은 약해졌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두 회사의 비중은 1990년 이후 역대 최대 수준이다. 애플은 7.11%, MS는 6.14%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는 WSJ는 전했다. MS의 시가총액은 2조310억달러로 2조달러를 다시 돌파했다. 2021년 12월 2조5600억달러에 달했던 MS의 시총은 지난해 10월 기준금리 인상 속에 1조5900억달러까지 쪼그라들었다. 하지만 올 들어 상승하며 2조달러를 다시 회복했다. 애플의 시총은 지난해 1월 2조9700억달러로 3조달러에 육박했으나 1년 뒤인 올 1월 1조9800억달러로 2조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이후 꾸준한 상승곡선을 그리며 2조5200억달러까지 올라왔다. MS와 애플의 주가는 올 들어 각각 14%, 21% 상승했다.

지난 10년 동안은 FAANG의 시대였다. FAANG이 S&P500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8월 약 25%에 이르며 정점을 찍었다. 지난해 기준금리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성장주로 꼽히던 이들 종목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그 영향으로 FAANG이 차지하는 비중은 21%까지 줄어들었고 종목별로는 희비가 엇갈렸다. 특히 메타는 개인정보 보호의 취약성이 드러났고, 넷플릭스는 가입자 감소와 콘텐츠 비용 증가로 고전했다.

이런 혼란스러운 시장에서 애플과 MS는 피난처로 떠올랐다. 사업 포트폴리오가 다양한 분야에 고르게 잘 분포돼 있고,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꾸준히 좋은 실적을 내왔기 때문이다. 토드 손 스트래티거스증권 ETF 스트래지스트는 “다른 기술주를 사들이는 것보다 애플과 MS를 바라보는 것이 더 편안하다”고 평가했다. 로리 반뒤센 LVD어드바이저리 최고경영자(CEO)는 “지수가 예전보다 소수 종목의 영향력 아래에 있다”며 “지수에 베팅하는 것보다 개별 종목을 사는 게 낫다”고 조언했다.

실리콘밸리=서기열 특파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