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하나둘씩 조정론에 가세하는 월가 IB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번 주는 정말 '빅 위크'(Big Week)입니다. S&P 500 기업 중 'FAANG'을 포함한 180여개 기업의 실적, 1분기 국내총생산(GDP) 및 3월 개인소비지출(PCE) 등 굵직굵직한 경제 지표, 미 중앙은행(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조 바이든 대통령의 두 번째 인프라딜인 '아메리칸 패밀리스 플랜'(American Families Plan) 및 증세안 발표까지 예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시장에 관망세가 나타나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빅 위크'를 시작하는 26일(현지시간) 다우는 0.18% 하락했습니다. 반면 S&P 500은 0.18%, 나스닥은 0.87% 상승했습니다. 나스닥 상승에는 아마존이 2.04% 급상승한 힘이 컸습니다. 이날 오후 '아마존이 이르면 이번 주에 액면분할을 발표할 것'이란 소문이 나돌았기 때문입니다. 나스닥 종합지수가 이날 2월12일 이후 처음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주요 지수는 꾸준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실제 그 밑단에서는 위험을 피하려는 움직임(risk-off)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주요 지수가 너무 많이 올랐다 △바이든 정부의 증세와 규제가 본격화되고 있다 △Fed의 테이퍼링(자산매입액 감축)이 시작될 가능성 △'5월에는 팔아라'로 대표되는 계절효과 등이 그 이유로 지적됩니다.
월가 투자은행(IB)들도 '조정이 나타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월가에서 가장 높은 연말 S&P 500 목표치(4400)를 주장해온 JP모간도 지난주 "낙관론에 대한 확신이 낮아졌다"는 보고서를 내놓았습니다. 모건스탠리, 도이치뱅크 등 일찌감치 조정론을 부르짖고 있는 진영에 합류한 겁니다. 골드만삭스도 2분기에 GDP 성장률이 연율 10.5%로 정점을 찍고 나면 주가 상승세가 느려질 것이라고 예고하고 있습니다. 월가 전략가들의 S&P 500 지수 목표치는 4133으로 이날 S&P 500 지수(4187.62)보다 더 낮습니다. 짐 폴슨 루스홀드인베스트먼트의 수석전략가는 이날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우리가 올해 10~15%에 달하는 주가 조정을 겪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랜디 프레드릭 찰스슈왑 전략가는 보고서를 통해 "10%가 넘는 조정은 예상하지 않지만 5~8% 수준의 조정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 올 3분기에는 변동성이 크고 요동치는 시장이 펼쳐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주식만 해도 최근 몇 주 동안 은행주 소형주 등 경기순환주 대신 변동성이 낮은 주식(lower beta stocks)과 헬스케어주, 초대형 기술주 등이 빛을 발했습니다. 경기방어적 성격을 가진 주식으로 일부 매수세가 몰린 것이죠. 뉴욕 증시의 거래량도 여전히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데이터아버에 따르면 지난주 대형주 펀드에서 회사채 펀드로 자금이 이동했습니다. 주식형 펀드에 유입된 자금(1개월 이동평균)은 전체 펀드 유입액의 62%에 그치고 있습니다. 지난 3월에는 94%에 달하기도 했습니다. 채권 시장에서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연 1.5%대에서 횡보하고 있는 데 대해 일부에선 "뉴욕 증시의 조정 가능성 등에 대비한 헤지 수요도 채권 매입 수요에 가세했다"고 지적합니다. 최근 증세 논란까지 부상하자 자금이 세제혜택이 있는 지방정부채권(munies)으로도 몰리고 있습니다.
또 올 하반기 상대적 수익률에서 나을 것으로 전망되는 이머징 마켓, 유럽 시장에 대한 추천도 늘고 있습니다. 이날 블랙록은 이머징마켓의 현지통화로 된 부채에 대해 '중립'에서 '비중확대'로 투자등급을 높였습니다. 인도 등 신흥국들이 여전히 코로나 재확산으로 전망이 불확실한데도 그렇습니다.
게임스톱 등 밈(meme) 주식과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신규 상장주(IPO)에 이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까지 투자 열기가 조금씩 가라앉고 있는 것도 위험선호 성향이 조금씩 힘을 잃고 있는 탓으로 보고 있기도 합니다. 테슬라도 1분기에 2억7200만달러 규모의 가상화폐를 매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주 나오는 각종 이벤트는 어떻게 될까요. 기업 실적은 좋을 겁니다. CNBC에 따르면 S&P500 기업 중 지난주까지 25% 가량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4%가 주당순이익(EPS)에서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습니다. 전년 동기에 비하면 이익이 30% 가량 늘어났습니다. 금융주를 빼도 11% 증가했습니다. 통상적인 5% 수준을 크게 웃도는 겁니다. 이날 장 마감 직후 1분기 실적을 공개한 테슬라도 순이익이 4억3800만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작년 1분기 순익은 1600만 달러였습니다. EPS도 93센트로 예상치(79센트)를 뛰어넘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좋은 실적이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테슬라도 시간외 거래에서 최대 3%까지 내리고 있습니다. 물론 회사측이 올해 딜리버리(차량 인도) 목표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는 데 따른 영향이 있습니다. 테슬라는 "향후 몇 년간 연평균 50%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바뀔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이익의 대부분이 탄소배출권 판매(5억1800만 달러), 비트코인 매각이익(1억100만 달러) 등으로 이뤄진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여전히 자동차 판매로는 돈을 벌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최근 주가수익률의 비대칭성이 커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실제 실적이 시장 예상에 부합하더라도 주가가 추가 상승할 가능성은 낮고, 예상에 못 미치면 떨어질 가능성은 높은 걸 말합니다.
이번 주 경제 지표를 주시하는 이유는 이달 들어 잠잠해진 금리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분기 GDP가 6.5%를 크게 넘어서거나 3월 PCE 물가가 예상치인 2.3% 수준을 웃돌 경우 물가 우려가 커질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1분기 실적을 내놓고 있는 기업들에서 계속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고가 나오고 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S&P 500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서 인플레이션을 언급한 기업의 수가 전년 대비 3배 이상 늘었다"며 "2004년 이후 가장 큰 증가세"라고 분석했습니다. 하니웰의 데리우스 애덤칙 CEO는 지난 24일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인플레이션은 확고히 자리잡고 있다.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우리는 알고 있고 보고 있다. 이건 진짜"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구리가 10년래, 옥수수와 밀 선물 가격이 7년래 최고치로 치솟는 등 원자재 물가가 급등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웰스파고증권은 몇 주 내로 금리가 다시 움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마이클 슈마허 전략가는 지난 24일 CNBC 인터뷰에서 "Fed가 인플레이션에 편안한데다 정책적 지원은 이어지고 있으며 경제 지표는 강해지고 있다"며 "이는 금리가 굉장히 높아질 수 있는 조합"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올해 말이면 10년물 국채 금리가 연 2.1~2.4%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TD아메리트레이드도 비슷합니다. TD의 크리스티나 후퍼 이코노미스트는 "연말 훨씬 이전에 10년물 수익률이 2%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경제는 뜨겁고 국채 수익률은 인플레 기대뿐 아니라 성장 기대도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금리가 움직인다면 지난 2~3월처럼 다시 증시는 요동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위험을 피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오는 28일 결과가 발표되는 FOMC는 별 게 아닐 것이란 게 대부분의 시각입니다. 월가 관계자는 "이번 FOMC는 이벤트가 아니다(non event)"라고 말했습니다. 제롬 파월 의장은 인플레 압력에 대해 "일시적"이라고 말하고 넘어갈 겁니다. 또 하방 위험이 나타날 가능성에 대해 더 많은 일을 할 용의가 있다고 상기시킬 겁니다. 월가 관계자는 "통화정책 성명서는 거의 변화가 없거나 경제에 대한 평가를 약간 개선시키겠지만 '6월 회의 때 테이퍼링(채권매입액 감축)에 대해 언급하겠구나'라고 느낄 정도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렇다면 테이퍼링은 언제쯤 이뤄질까요. 월가에선 세계 중앙은행장들이 모이는 8월 잭슨홀 회의 때쯤 파월 의장이 본격적인 자세 변화를 보인 뒤, 오는 9~11월 회의에서 테이퍼링 일정을 내놓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강합니다. 그리고 실제 테이퍼링은 12월이나 내년 초부터 시작해 1년에 걸쳐 여덟 번의 FOMC 회의 때마다 150억 달러씩 감축함으로써 현재 월 1200억 달러 규모의 채권 매입 프로그램을 종료할 것으로 봅니다. 오레건대의 경제학자인 팀 듀이는 팀 듀이는 '팀 듀이의 Fed 워치'를 통해 "Fed는 정책을 바꾸기 전에 경제가 반등하는 초기 단계까지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현석 기자
그러다보니 시장에 관망세가 나타나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빅 위크'를 시작하는 26일(현지시간) 다우는 0.18% 하락했습니다. 반면 S&P 500은 0.18%, 나스닥은 0.87% 상승했습니다. 나스닥 상승에는 아마존이 2.04% 급상승한 힘이 컸습니다. 이날 오후 '아마존이 이르면 이번 주에 액면분할을 발표할 것'이란 소문이 나돌았기 때문입니다. 나스닥 종합지수가 이날 2월12일 이후 처음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주요 지수는 꾸준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실제 그 밑단에서는 위험을 피하려는 움직임(risk-off)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주요 지수가 너무 많이 올랐다 △바이든 정부의 증세와 규제가 본격화되고 있다 △Fed의 테이퍼링(자산매입액 감축)이 시작될 가능성 △'5월에는 팔아라'로 대표되는 계절효과 등이 그 이유로 지적됩니다.
월가 투자은행(IB)들도 '조정이 나타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월가에서 가장 높은 연말 S&P 500 목표치(4400)를 주장해온 JP모간도 지난주 "낙관론에 대한 확신이 낮아졌다"는 보고서를 내놓았습니다. 모건스탠리, 도이치뱅크 등 일찌감치 조정론을 부르짖고 있는 진영에 합류한 겁니다. 골드만삭스도 2분기에 GDP 성장률이 연율 10.5%로 정점을 찍고 나면 주가 상승세가 느려질 것이라고 예고하고 있습니다. 월가 전략가들의 S&P 500 지수 목표치는 4133으로 이날 S&P 500 지수(4187.62)보다 더 낮습니다. 짐 폴슨 루스홀드인베스트먼트의 수석전략가는 이날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우리가 올해 10~15%에 달하는 주가 조정을 겪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랜디 프레드릭 찰스슈왑 전략가는 보고서를 통해 "10%가 넘는 조정은 예상하지 않지만 5~8% 수준의 조정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 올 3분기에는 변동성이 크고 요동치는 시장이 펼쳐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주식만 해도 최근 몇 주 동안 은행주 소형주 등 경기순환주 대신 변동성이 낮은 주식(lower beta stocks)과 헬스케어주, 초대형 기술주 등이 빛을 발했습니다. 경기방어적 성격을 가진 주식으로 일부 매수세가 몰린 것이죠. 뉴욕 증시의 거래량도 여전히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데이터아버에 따르면 지난주 대형주 펀드에서 회사채 펀드로 자금이 이동했습니다. 주식형 펀드에 유입된 자금(1개월 이동평균)은 전체 펀드 유입액의 62%에 그치고 있습니다. 지난 3월에는 94%에 달하기도 했습니다. 채권 시장에서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연 1.5%대에서 횡보하고 있는 데 대해 일부에선 "뉴욕 증시의 조정 가능성 등에 대비한 헤지 수요도 채권 매입 수요에 가세했다"고 지적합니다. 최근 증세 논란까지 부상하자 자금이 세제혜택이 있는 지방정부채권(munies)으로도 몰리고 있습니다.
또 올 하반기 상대적 수익률에서 나을 것으로 전망되는 이머징 마켓, 유럽 시장에 대한 추천도 늘고 있습니다. 이날 블랙록은 이머징마켓의 현지통화로 된 부채에 대해 '중립'에서 '비중확대'로 투자등급을 높였습니다. 인도 등 신흥국들이 여전히 코로나 재확산으로 전망이 불확실한데도 그렇습니다.
게임스톱 등 밈(meme) 주식과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신규 상장주(IPO)에 이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까지 투자 열기가 조금씩 가라앉고 있는 것도 위험선호 성향이 조금씩 힘을 잃고 있는 탓으로 보고 있기도 합니다. 테슬라도 1분기에 2억7200만달러 규모의 가상화폐를 매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주 나오는 각종 이벤트는 어떻게 될까요. 기업 실적은 좋을 겁니다. CNBC에 따르면 S&P500 기업 중 지난주까지 25% 가량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4%가 주당순이익(EPS)에서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습니다. 전년 동기에 비하면 이익이 30% 가량 늘어났습니다. 금융주를 빼도 11% 증가했습니다. 통상적인 5% 수준을 크게 웃도는 겁니다. 이날 장 마감 직후 1분기 실적을 공개한 테슬라도 순이익이 4억3800만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작년 1분기 순익은 1600만 달러였습니다. EPS도 93센트로 예상치(79센트)를 뛰어넘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좋은 실적이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테슬라도 시간외 거래에서 최대 3%까지 내리고 있습니다. 물론 회사측이 올해 딜리버리(차량 인도) 목표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는 데 따른 영향이 있습니다. 테슬라는 "향후 몇 년간 연평균 50%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바뀔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이익의 대부분이 탄소배출권 판매(5억1800만 달러), 비트코인 매각이익(1억100만 달러) 등으로 이뤄진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여전히 자동차 판매로는 돈을 벌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최근 주가수익률의 비대칭성이 커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실제 실적이 시장 예상에 부합하더라도 주가가 추가 상승할 가능성은 낮고, 예상에 못 미치면 떨어질 가능성은 높은 걸 말합니다.
이번 주 경제 지표를 주시하는 이유는 이달 들어 잠잠해진 금리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분기 GDP가 6.5%를 크게 넘어서거나 3월 PCE 물가가 예상치인 2.3% 수준을 웃돌 경우 물가 우려가 커질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1분기 실적을 내놓고 있는 기업들에서 계속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고가 나오고 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S&P 500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서 인플레이션을 언급한 기업의 수가 전년 대비 3배 이상 늘었다"며 "2004년 이후 가장 큰 증가세"라고 분석했습니다. 하니웰의 데리우스 애덤칙 CEO는 지난 24일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인플레이션은 확고히 자리잡고 있다.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우리는 알고 있고 보고 있다. 이건 진짜"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구리가 10년래, 옥수수와 밀 선물 가격이 7년래 최고치로 치솟는 등 원자재 물가가 급등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웰스파고증권은 몇 주 내로 금리가 다시 움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마이클 슈마허 전략가는 지난 24일 CNBC 인터뷰에서 "Fed가 인플레이션에 편안한데다 정책적 지원은 이어지고 있으며 경제 지표는 강해지고 있다"며 "이는 금리가 굉장히 높아질 수 있는 조합"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올해 말이면 10년물 국채 금리가 연 2.1~2.4%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TD아메리트레이드도 비슷합니다. TD의 크리스티나 후퍼 이코노미스트는 "연말 훨씬 이전에 10년물 수익률이 2%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경제는 뜨겁고 국채 수익률은 인플레 기대뿐 아니라 성장 기대도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금리가 움직인다면 지난 2~3월처럼 다시 증시는 요동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위험을 피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오는 28일 결과가 발표되는 FOMC는 별 게 아닐 것이란 게 대부분의 시각입니다. 월가 관계자는 "이번 FOMC는 이벤트가 아니다(non event)"라고 말했습니다. 제롬 파월 의장은 인플레 압력에 대해 "일시적"이라고 말하고 넘어갈 겁니다. 또 하방 위험이 나타날 가능성에 대해 더 많은 일을 할 용의가 있다고 상기시킬 겁니다. 월가 관계자는 "통화정책 성명서는 거의 변화가 없거나 경제에 대한 평가를 약간 개선시키겠지만 '6월 회의 때 테이퍼링(채권매입액 감축)에 대해 언급하겠구나'라고 느낄 정도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렇다면 테이퍼링은 언제쯤 이뤄질까요. 월가에선 세계 중앙은행장들이 모이는 8월 잭슨홀 회의 때쯤 파월 의장이 본격적인 자세 변화를 보인 뒤, 오는 9~11월 회의에서 테이퍼링 일정을 내놓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강합니다. 그리고 실제 테이퍼링은 12월이나 내년 초부터 시작해 1년에 걸쳐 여덟 번의 FOMC 회의 때마다 150억 달러씩 감축함으로써 현재 월 1200억 달러 규모의 채권 매입 프로그램을 종료할 것으로 봅니다. 오레건대의 경제학자인 팀 듀이는 팀 듀이는 '팀 듀이의 Fed 워치'를 통해 "Fed는 정책을 바꾸기 전에 경제가 반등하는 초기 단계까지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현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