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소 지역은행 퍼스트리퍼블릭은행의 주가가 하루 새 50% 가까이 폭락하면서 은행위기 공포가 다시 커지고 있다. 미국 4대 은행 주가도 일제히 하락했다. 미국 정부가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 후 재점화된 은행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 구제안을 마련할지 주목된다.

○“퍼스트리퍼블릭은 이미 ‘좀비은행’”

美지방은행, 하루새 주가 반토막…되살아난 위기 공포
퍼스트리퍼블릭은 2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49.87% 하락한 8.1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에는 7.92달러까지 떨어졌다. 퍼스트리퍼블릭 주가는 올해 초 140달러대에 거래됐으나 93% 이상 빠져 역대 처음으로 한 자릿수로 추락했다.

퍼스트리퍼블릭 주가 폭락은 전날 장 마감 후 발표한 1분기 실적 때문이다. 퍼스트리퍼블릭은 1분기 말 기준 예금 잔액이 1045억달러로 전 분기(1766억달러)보다 41%가량 줄었다고 밝혔다. 이는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이 집계한 전문가 추정치인 1450억달러에 못 미친다. SVB 파산 사태 후 시장에선 퍼스트리퍼블릭의 유동성 위기설이 돌았는데 예상보다 더 많은 돈이 빠져나간 것이다. 지난달 JP모간체이스 등 대형 은행 11곳에서 지원받은 예치금 300억달러(약 40조원)를 고려하면 감소액은 1000억달러가 넘는다.

퍼스트리퍼블릭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미국 정부 및 대형 은행들과 다시 접촉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소식통을 인용해 이날 보도했다. 백악관과 미 중앙은행(Fed), 재무부가 며칠간 퍼스트리퍼블릭과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퍼스트리퍼블릭이 검토하는 옵션은 크게 두 가지다. 지난번처럼 대형 은행들에 다시 손을 벌려 지원금을 요청하거나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에 은행을 넘기는 대신 예금 전액을 정부가 지급보증하는 방안이다. SVB는 후자의 방법을 통해 위기를 진화했다.

이렇게 위기를 넘긴다고 해도 퍼스트리퍼블릭이 살아날 수 있을진 불투명하다. 시장에서는 회의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 자산운용사 언리미티드의 밥 엘리엇 최고경영자(CEO)는 CNBC 인터뷰에서 이 은행을 ‘좀비 은행’이라고 표현했다.

○미국 4대 은행 주가도 하락

퍼스트리퍼블릭 주가가 폭락하면서 미국의 은행위기 우려가 다시 커지는 모습이다. 실적이 나쁘지 않은 미국 4대 은행 주가도 일제히 하락했다. 이날 JP모간체이스(-2.17%) 뱅크오브아메리카(-3.09%) 씨티그룹(-2.3%) 웰스파고(-2.17%) 등의 주가가 모두 떨어졌다.

중소 은행의 주가는 더 빠졌다. 웨스턴얼라이언스뱅코프, 팩웨스트뱅코프는 각각 5.58%. 8.92% 하락했다. 미국 중소 은행의 주가 추이를 살펴볼 수 있는 KBW나스닥지방은행지수는 4%가량 떨어졌다. 이 여파로 이날 3대 지수도 하락했다. 다우지수는 1.02%, S&P 500지수는 1.58%, 나스닥지수는 1.98% 하락 마감했다.

이번 은행권 위기는 미국 Fed의 금리 인상 결정 1주일을 앞두고 재점화했다는 점에서 금리 인상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Fed는 경기 침체 우려 속에도 물가를 잡기 위해 다음달 2~3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한 차례 더 올릴 것이란 신호를 주고 있다. WSJ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시장에서 다음달 Fed가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확률은 90%대에서 퍼스트리퍼블릭 주가 폭락 이후 70%대로 떨어졌다.

매슈 미시 UBS 전략가는 이날 투자노트에서 “3월 은행위기 이후 대출 둔화 속도가 우려스럽다”며 “상업 및 산업 부문(C&I) 대출이 경기 침체에 가까운 수준으로 감소하는 궤도에 들어섰다”고 분석했다.

그는 은행의 상업 및 산업 대출이 올해 4분기 약 5% 감소하고, 2024년 1분기에는 약 10%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