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나무 언니'에 다시 돈 몰린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유럽 크레디트스위스(CS) 위기 등 세계 금융계의 혼란이 캐시 우드 아크인베스트먼트 최고경영자(CEO·사진)에게는 기회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긴축 속도를 감속할 수도 있다는 기대감에 기술주 투자 심리가 좋아지면서 아크인베스트먼트에 자금이 몰려서다.

15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전날 아크인베스트의 대표 상장지수펀드(ETF)인 아크 이노베이션 ETF(ARKK)에 3억9700만달러(약 5206억원)가 유입됐다. 2021년 4월 이후 하루 유입액 기준으로 가장 크다. CNBC는 “월스트리트가 공황에 빠졌지만 우드는 최대 수혜자가 됐다”고 보도했다.

Fed가 긴축 속도를 늦출 거란 전망 때문에 ARKK에 투자금이 쏠렸다. 월가에서는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Fed가 금리를 0.25%포인트 올리거나 동결할 수도 있다는 예상을 내놓고 있다. SVB와 CS 사태로 Fed가 물가 억제보다 금융 안정성을 더 중시할 경우 금리 동결이 가능하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 경우 대형 기술기업(빅테크)과 성장기업에 투자하는 ARKK의 성과가 좋아질 가능성이 커진다. 기준금리가 상승하면 기술주와 같은 위험 자산 선호도가 떨어지고, 중앙은행이 긴축 속도를 늦추면 반대 효과가 난다. Fed가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한 지난해 연간 ARKK 주가는 70%가량 폭락했다.

Fed는 오는 21~22일 FOMC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현지시간으로 16일 새벽 1시 기준으로 0.25%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동결 가능성을 웃돌았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