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금융 기관의 암호화폐(가상화폐) 서비스 제공을 금지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중국은행업협회, 중국인터넷금융협회, 중국지불청산협회 등 세 기관이 '가상화폐 거래 및 투기 위험에 관한 공고'를 내고 가상화폐 사용을 불허한다고 거듭 강조한 것이다. 성명에는 "가상화폐에 대한 투기 활동이 인민의 재산을 위협하고 경제·재정 질서를 교란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인도 매체인 이코노믹타임스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가상화폐 규제 방안을 연구하는 위원회 설립을 검토 중이다.

일부 국가가 가상화폐 규제에 나서고 있지만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다. 가상화폐는 정부의 영향에서 벗어나 완전히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적지 않은 국가들이 이미 가상화폐를 자산으로 인정하고 과세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를 투기적 자산으로 인식해야 한다. 그 이유는 이렇다.
자료=UBS
자료=UBS
우선 가상화폐는 화폐가 아니다. 기본적으로 화폐는 가치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하고, 거래 수단이 돼야 한다. 그런데 가상화폐는 변동성이 커서 안정적으로 가치를 저장할 수 없다. 비트코인 가격은 1주일에 10% 이상 움직이는 게 일반적이다. 가상화폐 시장에는 진입 장벽도 사실상 없다. 현재 코인마켓캡닷컴에는 4000개 이상의 가상화폐가 상장돼 있다. 가상화폐를 지불 수단으로 받아들인 회사도 극소수다. 미국 전기차 제조회사인 테슬라는 가상화폐를 지불 수단으로 채택하겠다고 했다가 이를 번복하기도 했다.

포트폴리오 관점에서 보면 가상화폐 투자의 이점은 제한적이다. 가상화폐는 전통적인 자산과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다. 따라서 가상화폐의 역할은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만들어준다는 점 외에는 찾기 어렵다. 오히려 가상화폐가 위험자산과의 상관관계가 커졌기 때문에 굳이 포트폴리오에 추가할 이유도 없다고 본다.

비트코인은 탄소배출을 높여 환경을 파괴한다. 가상화폐를 채굴하고 관리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전력이 소비되기 때문이다. 영국 케임브리지대에 따르면 비트코인 시장에 쓰이는 에너지 규모가 스위스의 에너지 사용량과 맞먹는다고 한다. 당연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수밖에 없다. 시간이 갈수록 지속가능성을 중요히 여기는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정리=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