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ESG] 돈 되는 ESG ETF - 인프라 ETF
지난 11월 뉴햄프셔주에서 유세 중인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 트럼프 전 대통령의 모습. 사진=AFP 연합뉴스
지난 11월 뉴햄프셔주에서 유세 중인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 트럼프 전 대통령의 모습. 사진=AFP 연합뉴스
미국의 대통령선거(2024년 11월 5일)가 1년 앞으로 다가왔다. 미국 대선은 치를 때마다 전 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되는 이벤트다. 미국 정부의 정책이 미치는 영향력을 감안하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러나 조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 확률과 공화당 후보의 당선 확률 중 그 어느 쪽도 압도적이지 않은 상황인 데다 대통령선거와 동시에 연방의회 선거도 진행되기에 2024년 미국 대선에 대한 관심은 더욱 뜨거울 전망이다.

2024년 대통령선거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할지, 공화당 후보가 당선될지 불확실하다. 그러나 당장 2024년 1월부터 양당의 대선주자를 뽑기 위한 경선이 시작되면 여러 정책 중 민주당과 공화당이 상반된 입장을 보인 정책에 대한 각 후보자의 입장에 관심이 쏠릴 것이다. 여전히 미국에서 ESG 이슈가 정치 성향을 표명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기에 안타깝지만 ESG 투자는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

IRA 등 친환경 정책 비판하는 공화당

현재 공화당의 대선주자 중 가장 높은 지지를 받고 있는 후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다. 언론을 통해 드러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공약은 ‘미국에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대한 관세(10%) 일괄 부과, 전기차 활성화 정책 폐기(IRA 폐기), 원유 시추 지속, 석유 및 천연가스 시추 허가 가속화, 기준금리 인하 압력, 법인세율 인하’ 등이다.

앞선 임기 때도 드러났던 화석연료에 대한 선호가 여전한 가운데, 트럼프 전 대통령이 1조 달러에 가까운 바이든 정부 적자의 원인이 ‘유럽, 일본, 멕시코, 캐나다, 한국에서 온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때문이라고 비난한 점은 우려할 만한 부분이다.

트럼프 대통령 외 다른 공화당 경선 주자인 니키 헤일리 전 UN 대사, 론 드산티스 플로리다 주지사 등도 현행 에너지 정책에 대해 미국이 아닌 제3국을 지원하는 정책이라 비판하며 ‘미국이 보유한 에너지자원’을 활용해 ‘에너지 패권’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친환경 정책으로 인해 미국의 에너지 안보가 약화되고 있고, 친환경 산업의 밸류체인이 취약한 미국 경제의 특성상 대부분의 지원책에 대해 중국 기업만 수혜를 보고 있다는 것이다. 2023년 국내 증시를 이끈 가장 강력한 모멘텀 중 하나가 ‘IRA 시행’에서 비롯된 ‘친환경 투자’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같은 공화당 대선 후보의 발언은 불확실성을 확대하는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천연가스, 수소, 그리고 인프라

밸류에이션 부담을 안고 있는 친환경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 선호도가 약화된다면, 이제 친환경 산업의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인프라’로 옮겨볼 만하다. 전기차는 물론 재생에너지 발전소의 운영과 전력 공급에 필요한 전력망, 가상발전소(VPP),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기반 시설이 대표적일 것이다. 어떤 에너지원이든 생산한 에너지를 전력화하는 데 필요한 저장시설과 수요처까지 이동할 송배전 시스템은 필수적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트럼프 리스크’ 피하는 투자 대안, 에너지 인프라


한편, 다시 한번 ‘전통 에너지’가 주목받더라도 이미 전 세계에서 시작된 재생에너지 투자 흐름을 중단시키는 어려울 것이다. 공화당을 지지하는 주에서도 IRA 시행을 계기로 상당수 일자리가 창출됐기 때문이다. 아울러 전 세계에서 이상기후 현상이 심화되고 있기에 공화당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다 해도 앞선 임기에서 보인 만큼 ‘친환경, 탈탄소’라는 단어를 완전히 외면하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가교 에너지원의 형태인 ‘친환경적 화석연료’ 즉 천연가스가 재조명받을 가능성에 주목할 만하다. 2024년 에너지 산업에서는 천연가스와 관련한 밸류체인에 더해 천연가스 기반의 친환경에너지로 분류되는 수소와 그 밸류체인이 부각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사실 이 부분은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육성하고자 하는 의지를 여러 차례 피력했기에 차기 미국 대통령에 누가 당선되더라도 상대적으로 부담 없는 선택지가 될 수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안에 전통 에너지 산업의 친환경 전환을 목표로 하는 지원책이 다수 담긴 점 등이 이를 방증한다. 이 정책들은 화석연료에도 이산화탄소 포집 등 친환경 설비를 적용할 경우 세제 혜택을 받도록 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유럽연합(EU)과 러시아 간 전쟁 발발을 미국의 에너지 시장 내 입지 강화 기회로 활용하기도 했다. 천연가스 수출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진행한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된 2021년 이후 다수의 LNG 수출 터미널 프로젝트들이 신규 승인을 획득했으며, 2022년 기준 전 세계 LNG 수출 시장에서 미국의 점유율은 20% 수준까지 상승해 2위 호주(21.8%)와 격차를 줄였다.

다양한 지원 정책이 활성화됨에 따라 미국 내에서 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 그린 수소 프로젝트는 물론, 블루 수소 생산을 위해 필요한 탄소포집 프로젝트도 늘고 있다. 태양광, 풍력, 수력발전 등 재생에너지를 기반의 수전해 방식으로 생산하는 그린 수소의 경우 탄소배출량이 가장 적지만 높은 비용으로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블루 수소도 포집 설비 마련을 위한 추가 투자가 필요한 것은 마찬가지였다. 생산 세액공제, 투자 세액공제 등이 수소 프로젝트 활성화에 마중물이 되고 있음에 주목하며 미국의 수소 생태계 성장 가능성에 관심을 기울일 시점이다.

이나예 한국투자증권 ESG 애널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