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긴박한 이스라엘 전시 내각 > 14일(현지시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왼쪽 세 번째)가 텔아비브 국방부 청사에서 전시 내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회의 참석자들은 전날 이스라엘 본토를 겨냥해 무장 드론과 미사일 수십 발을 발사한 이란의 공습에 대한 대응을 논의했다.   AFP연합뉴스
< 긴박한 이스라엘 전시 내각 > 14일(현지시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왼쪽 세 번째)가 텔아비브 국방부 청사에서 전시 내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회의 참석자들은 전날 이스라엘 본토를 겨냥해 무장 드론과 미사일 수십 발을 발사한 이란의 공습에 대한 대응을 논의했다. AFP연합뉴스
이란의 보복 공습을 받은 이스라엘이 대응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강경 대응을 요구하는 극우 연정과 대응 자제를 촉구하는 미국 등 국제사회 양쪽으로부터 동시에 압박을 받고 있다. 이스라엘 전시 내각을 구성하는 각료들은 재보복에 대체로 공감대를 형성하면서도 시기와 수위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복엔 공감대, 방법은 고민

이스라엘 전시 내각은 14일(현지시간) 회의를 열고 이란의 공격과 관련한 대응방안을 논의했지만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전시 내각은 네타냐후 총리와 야당 국민통합당의 베니 간츠 대표, 요아브 갈란트 국방장관 등 3인을 주축으로 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당초 전시 내각 회의에서는 대응방안이 구체적으로 논의될 예정이었으나, 네타냐후 총리가 전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통화한 직후 해당 안건을 철회했다”고 보도했다. 회의 내용이 구체적인 대응방안보다 재보복에 대한 공감대를 확인하는 데 방점을 뒀다는 전언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스라엘 지도부는 중동을 전면적인 분쟁으로 몰아넣지 않으면서 어떻게 보복하느냐에 관해 고심에 빠졌다”고 전했다. 큰 피해가 없었다고는 해도 무려 350발의 자폭 드론과 미사일을 퍼부은 이란의 공격에 아무런 대응 없이 넘어갈 수는 없다는 게 전시 내각 각료들의 대체적인 시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스라엘 채널12 방송은 네타냐후 총리가 조만간 전시 내각 회의를 재소집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네타냐후 정치력에 달린 셈법

향후 정국이 네타냐후 총리의 정치력을 가늠하는 시험대가 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이스라엘은 작년 10월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공격을 받은 뒤 가자지구에서 6개월째 전쟁을 이어오고 있다.

네타냐후 총리는 당시 하마스의 기습을 막지 못한 데다 이후에도 인질 대부분이 여전히 억류돼 있다는 점에서 국내에서 안보 실패의 책임자로 비난받고 있다. 반면 국제사회에서는 가자지구 전쟁으로 3만3000명이 넘는 민간인 사망 피해(팔레스타인 추산)를 낳았다는 점에서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 최대 우방인 미국조차 지난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기권하는 방식으로 가자지구 휴전 결의안이 채택되도록 했다.

이런 상황에서 이스라엘 극우 연립정부 내 주요 인사는 신속한 강경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이타마르 벤-그비르 국가안보장관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제 우리는 (이란에 대한) 치명적 공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2022년 12월 네타냐후 총리가 재집권하는 데 도움을 준 공로를 내세워 강경 노선을 압박하고 있는 인물이다.

미국은 바이든 대통령,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국가안보소통보좌관 등이 연일 “확전을 부를 재보복을 자제하라”며 이스라엘에 경고하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14일 중동 지역의 외교장관들과 잇달아 유선 협의를 통해 ‘확전 방지’를 강조했다.

이란, 호르무즈해협 봉쇄하나

이스라엘이 재보복에 나서면 ‘5차 중동전쟁’ 위기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 과정에서 이란이 세계 핵심 원유 운송로인 호르무즈해협을 봉쇄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란은 이스라엘 본토에 대한 대규모 공습을 단행하기에 앞서 호르무즈해협 근처에서 이스라엘과 관련된 선박을 나포하기도 했다.

FT 등에 따르면 호르무즈해협이 폐쇄된 전례는 1973, 1979년 두 차례 있었다. 다만 해협 폐쇄는 이란도 타격을 받을 수 있어 섣불리 나서기는 어려운 조치다. FT는 이란의 대(對)중국 석유 수출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고 지난해 10월 기준 호르무즈해협을 통과하는 하루 원유량(1500만 배럴) 중 100만 배럴 이상이 이란산이었다는 점을 들어 “이란에도 해협 폐쇄는 중대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