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ESG] 칼럼
[칼럼] 탄소중립 이끄는 기후테크와 녹색금융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정부는 지난 6월 22일 ‘기후테크 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10개의 기후테크 유니콘을 육성하고, 100조원 규모로 수출을 확대한다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 10만 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세웠다. 정부는 투자 확대, 시장 개척 지원, 산업 기반 강화 등 3대 전략과 9개 과제를 제시했다.

이 중 기후테크 산업 육성을 위해 녹색금융과의 협력 전략을 내세운 것이 단연 눈에 띈다. 우선 기후테크 투자 확대를 위해 4000억원 이상 정책 펀드를 조성하고, 4조4000억원의 보증 지원을 추진하며, 채권 발행과 대출, 프로젝트 파이낸스(PF) 등 135조원 규모의 민간 금융투자를 확대한다.

‘한국형 녹색 분류체계(K-택소노미)’는 기후테크와 녹색금융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하게 된다. 우선 K-택소노미를 기초로 기후테크 산업에 대한 인증을 진행하고, 탄소 가치 평가 보증과 연계한다. 그러면 민간에서는 인증 또는 보증을 받은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벤처,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여신 지원이 가능해진다.

정부의 기후테크 산업 육성 전략이 발표되기 이틀 전인 지난 6월 20일 탄녹위와 한국은행이 공동으로 개최한 국제녹색금융컨퍼런스 논의 내용도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이날 이창용 총재는 한국은행도 탄소중립과 녹색금융을 위해 기후 리스크 관리를 위한 스트레스 테스트 방법론 고도화, ESG 투자 확대, 기후테크 산업을 위한 간접 여신 지원, 대국민 소통 확대 등에 나서겠다는 정책을 발표했다.

특히 기후테크 산업에 대한 은행의 여신 지원 시 이를 녹색채권 등으로 증권화하면 한국은행이 이를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전 세계적 양적긴축 시대에도 기후테크 분야에 대해서는 녹색 유동성 공급 확대를 기대할 수 있는 매우 반가운 소식이다.

파리기후변화협약,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 배터리 규제 등 새로운 국제질서는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나라에 대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그 방향은 단연 탄소배출을 줄이는 동시에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을 만드는 것이다. 이것이 녹색성장을 통한 탄소중립이다. 그 중심에 기후테크와 녹색금융이 있다. 그리고 그 둘을 이어주는 것은 K-택소노미다.

최근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우리나라의 기후테크 생태계를 조성하려는 시도가 시작됐다. K-택소노미를 기초로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이를 지원하는 기관을 발굴해 정보를 공유하는 ‘K-클라이밋테크’가 대표적이다.

우리나라의 미래와 전 세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정부와 공공부문, 학계, 산업계, 금융기관이 지혜와 힘을 모아 청년들의 기후테크 창업을 지원하고, 대기업과 함께 스케일업을 통해 글로벌화까지 갈 수 있도록 하는 산업 생태계 조성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임대웅 UNEP FI 한국대표·BNZ파트너스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