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6%로 16일 상향조정했다./사진=뉴스1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6%로 16일 상향조정했다./사진=뉴스1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6%로 대폭 높였다. 반도체 중심의 강한 수출 회복세가 경제 성장을 이끌 것이란 전망이다. 하지만 고금리 탓에 민간소비는 작년에 이어 1.8%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관측했다.

KDI는 16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24 상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KDI는 올해 경제성장률을 2.2%로 전망한 지 3개월 만에 2.6%로 0.4%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지난 2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2.6%) 및 인상폭(0.4%포인트)과 동일하다.

이번 전망은 원화 가치가 최근 수준에서 큰 변동이 없고, 내년까지 세계경제가 완만한 성장세(3.2%)를 이어갈 것이란 점을 기본 전제로 뒀다.

KDI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높은 증가세를 보이며 올해 경기 회복세를 주도할 것으로 진단했다. 상품 수출은 반도체 수요 확대에 힘입어 올해 5.3% 증가한 뒤 내년에는 2.3%로 상승폭이 둔화할 것이란 예상이다. 올해 상품 수출액 증가율은 기존 6.5%에서 9.1%로 확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영향에 올해 경상수지 흑자폭은 3개월 전(562억달러) 보다 141억달러 늘어난 703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내년에는 수출 증가세가 조정되며 2.1%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됐다. 김지연 KDI 경제전망실 동향총괄은 "올해 성장률(2.6%)이 다소 높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작년의 경기부진을 만회하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호황도 불황도 아닌) 중립 수준으로의 경기 회복은 내년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수출과 함께 경기 양대 축인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 1.8%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3개월 전 1.7%에서 소폭 높였지만 작년(1.8%)과 동일한 수준이다. 김 동향총괄은 "민간소비는 고금리 영향으로 작년에 이어 올해도 1.8% 증가하는 데 그칠 것"이라며 "내년에는 부진이 완화되면서 1.9%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내년 소비 부진 완화는 올해 안으로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이란 전제가 바탕이라는 설명이다.

설비투자는 종전 전망보다 0.1%포인트 내린 2.2%, 건설투자는 기존과 동일한 1.4% 역성장으로 예상됐다. 설비투자의 경우 고금리 기조가 완화되며 내년에는 3.1%의 높은 증가세를 기록할 것이란 예상이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6%로 제시했다. 3개월 전 전망치인 2.5%에서 0.1%포인트 높였다. 중동 사태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전망에선 올해 두바이유 가격을 배럴당 81달러로 내다봤는데 이번에는 85달러로 관측했다. 내년에는 82달러로 소폭 하락할 것이란 예상이다.

올해 근원물가 상승률은 2.3%로 유지했다. 김 동향실장은 "기조적 물가상승세를 나타내는 근원물가 상승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등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우려는 상당 부분 완화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KDI는 이처럼 물가가 서서히 잡히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할 때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고금리 기조가 가계와 개인사업자 대출연체율을 상승시키는 등 내수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어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2%)에 수렴하는 상황에선 긴축 기조의 점진적 조정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다.

경기침체가 아닌 평상시에는 세입 확충과 총지출 관리를 통해 재정 여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전 국민 25만원 지급과 같은 더불어민주당의 주장에 반대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번 전망의 위협요인으로는 중동 지역 갈등에 따른 국제유가 급등, 중국의 경기침체, 미국 대선 이후 보호무역주의 기조 심화 등을 꼽았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