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열풍에도 북해 산유국들이 석유 생산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석유·가스 산업이 나라의 기반 사업이기 때문이다. 탄소 감축 기조에도 석유·가스 산업이 축소되지는 않을 거라는 분석이 나온다. 28일(현지시간) 에너지 전문매체 오일프라이스닷컴에 따르면 서유럽 최대 산유국 노르웨이는 석유 개발 사업에 여전히 열을 올리고 있으며 추가 유전 탐사도 고려하고 있다. 이는 2025년까지 모든 차량을 친환경 자동차로 전환하고자 하는 노르웨이 정부의 친환경 정책과 대조된다. 노르웨이는 지난해 전기차 판매 비중이 54.3%에 달해 전 세계에서 전기차 판매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이기도 하다. 친환경에 앞장서는 이 나라가 화석연료를 놓지 못하는 이유는 석유·가스 산업이 나라의 주축 산업이기 때문이다. 석유 및 가스 산업은 노르웨이 GDP의 약 20%를 창출하고 있다. 석유 관련 산업이 만들어 내는 일자리도 20만개에 달한다. 친환경 정책과 석유·가스 산업이 공존할 수 있다는 게 노르웨이 정부의 기본적인 입장이다. 지난달 노르웨이 정부가 발표한 백서에서 "정부는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르기 위해 해상 풍력, 수소 등에 투자하고 있다"며 "하지만 석유·가스 산업은 장기적으로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계속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앞으로도 노르웨이의 석유·가스 산업이 축소되지는 않을 거란 전망이다. 티나 브루 노르웨이 석유에너지부 장관은 지난달 "노르웨이의 석유 정책의 핵심 목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익성과 생산을 촉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노르웨이 석유국도 올 상반기에 석유 탐사 활동과 생산이 활발했으며, 현재 새로운 석유·가스 개발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또 다른 북해 산유국인 영국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석유·가스 산업의 경제적 효과에 관련 기업에게 보조금까지 지급했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의 거센 항의에 부딪히면서 고민이 깊어지는 모양새다.이날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고등법원은 정부의 석유·가스 기업에 대한 보조금 정책에 위헌심사를 요청한 환경단체들의 손을 들어줬다.영국 정부는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 이후에도 석유가스 기업에 32억파운드(약 5조1216억원)의 보조금을 지급했다.이로 인해 영국 내 유전 탐사 사업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셔틀랜드 근처 캄보(Cambo) 지역의 유전 탐사가 계획돼 있다.지난 5월 영국 정부 관계자는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석유 및 가스 사업은 중단되지 않는다"며 "다만 기후 변화 정책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유전 탐사 허가를 내줄 것"이라고 말했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
폴리실리콘 제조업체인 OCI는 이사회 산하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위원회를 신설했다고 29일 발표했다.OCI의 ESG위원회는 회사의 주요 의사 결정에 대한 이사회의 전문성과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조직이다. 사외이사 4명 전원과 사내이사 1명 등 총 5명으로 구성됐다. 실무적인 접근과 실행을 위해 김택중 OCI 사장이 위원장을 맡았다.ESG위원회는 사업운영에 직접적으로 ESG 원칙이 반영될 수 있도록 사업 전반에 걸쳐 ESG 관련 현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온실가스 감축, 탄소중립 등 중장기 전략 수립 및 이행 등을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김 사장은 “ESG위원회 신설을 통해 ESG 경영을 선도하는 에너지·화학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현대자동차가 현대일렉트릭과 수소 연료전지 기반의 발전기를 함께 개발하는 등 수소 사업 다각화에 나선다.현대차와 현대일렉트릭은 29일 발전용 수소 연료전지 패키지 상용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체결식엔 김세훈 현대차 연료전지사업부 부사장, 조석 현대일렉트릭 사장 등이 참석했다.양사는 현대차 차량에 적용된 수소 연료전지를 기반으로 발전용 시스템 패키지를 개발한다. 이를 섬이나 사막 등 전기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 쓸 수 있는 이동형 발전기와 항만에 정박 중인 선박에 전력을 공급하는 항만 육상 전원공급 장치에 활용할 계획이다.현대차는 연료전지 시스템 공급과 기술을 지원한다. 현대일렉트릭은 연료전지를 탑재한 발전용 패키지와 이를 이동형 발전기 등에 적용하는 사업모델 개발을 담당한다.김 부사장은 “현대차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수소 연료전지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진출해 수소 경제를 조기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사장은 “전력시장에서 녹색 바람을 일으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한 축으로 삼겠다”고 강조했다.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