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규만 딜로이트 안진 ESG공시인증연구센터장
허규만 딜로이트 안진 ESG공시인증연구센터장
2025년부터 ESG 공시가 의무화 된다. 기업은 영업이익, 자산상태 뿐 아니라 탄소배출, 지배구조, 사회적 공헌 등의 내용을 의무적으로 알려야 한다. 2년도 채 남지 않은 시간인 만큼 기업의 부담이 너무 커질 것이란 논란도 거세다. 21일 한국경제신문과 만난 허규만 딜로이트 안진 ESG 공시인증연구센터장은 "더이상 피하거나 늦출 수 없는 문제"라며 "전사적 변화에 나서야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딜로이트 안진은 현재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130여명의 회계사 등으로 구성된 ESG센터네에 공시인증센터를 별도로 운영중이다. 허 센터장은 “미국과 유럽에서도 기업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논란이 있고, 반발 역시 있다”면서도 “그렇다고 ESG 공시의무화를 늦출 수는 없다는게 미국과 유럽 당국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글로벌 스탠다드를 따르는 한국 역시 지금의 계획이 늦춰질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며 “우리 정부 역시 국제 사회와의 약속을 주도적으로 거부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허 센터장은 또 "ESG 공시가 투자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가 되고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투자자들 역시 투자 수익률 등과 ESG 요소가 매우 긴밀하게 연관돼 있다는 걸 인지하고 있다"면서 "오히려 정부의 대응이 너무 늦는게 아니냐는 목소리 까지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투자자들 역시 중요 이해관계자이고 강하게 ESG 정보를 요구하고 있는 만큼 정부가 쉽게 정책을 미룰 수 없다는 의미다.

허 센터장은 수출 주도 기업들에게는 ESG가 이미 생존의 문제가 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허 센터장은 “1차 벤딩 업체나 유럽 대기업 협력업체 들과 컨설팅을 해보면 이미 ‘탄소배출량을 일정 정도로 줄여 적합 등급을 받지 않으면 부품을 공급받지 않겠다’는 압박을 받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고 했다. 이어 "하루빨리 글로벌 제도 변화에 적응해야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ESG는 이제 '홍보'가 아닌 '관리'의 영역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아직까지 많은 기업들은 ESG를 기업의 홍보용으로 이용하고 있지만, 이제는 특정 부서가 아닌 전사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때라는 설명이다. 허 센터장은 "실제 컨설팅을 진행하다 보면 최고 경영자들이 이런 이슈에 큰 관심이 없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면서 "CEO나 최고경영자 입장에서 관심을 갖고 전사적으로 변화를 이끌어가야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