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현우의 Fin토크] "빗썸은 누구 겁니까"
어느 여배우의 열애설이 ‘나비효과’가 돼 엉뚱하게도 암호화폐 업계를 흔들어놨다. 이 배우가 만난 재력가 남성 강모씨가 ‘빗썸 회장’ 명함을 들고 다니는 인물이라는 연예매체 보도가 발단이었다. 빗썸 측은 “그런 회장이 없다”며 펄쩍 뛰었지만 세간의 관심은 연예인을 넘어 빗썸으로 향했다. 이 회사의 지배구조가 필요 이상으로 복잡하고 실소유주가 불분명하다는 논란이 어제오늘 얘기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빗썸의 지배구조를 이해하려면 코스닥 상장사, 투자조합, 해외법인 등 10여 개 주체가 얽힌 복잡한 관계도를 그려야 한다. 연결고리 곳곳에 강씨 여동생이 주주와 임원으로 등장한다. 남매가 대체 무슨 돈으로 지분을 늘렸는지 석연치 않다는 게 구설의 요지다. 자연히 배후에 다른 누군가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따라온다. 검찰과 금융감독원은 빗썸 관련주들이 찍어낸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들여다보고 있다. ‘이른바 빗썸 회장’은 다음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불려 나오게 됐다.

'투명성' 갈 길 먼 코인시장

열심히 자기 할 일 하는 빗썸 직원들은 속상할 수도 있겠다. 그래도 가상자산에 대한 시각이 여전히 엇갈리는 상황에서 국내 대표 기업이 이런저런 구설을 달고 다니는 모습은 바람직하지 않다. 모든 암호화폐거래소는 스스로 디지털 금융 혁신을 지향한다고 말해 왔다. 금융회사의 기본이 투명성이라는 점은 디지털 세 글자가 붙어도 변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금융 거래소라면 영업 허가를 받지 못했을 것”(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라는 국회 질타가 지나치지만은 않다.
[임현우의 Fin토크] "빗썸은 누구 겁니까"

거래 끊긴 지금, 제도화 적기

올해 국감에서는 과거에 비해 가상자산 현안과 관련한 질문의 영역이 한층 넓어졌다. 특정 업체의 지배구조뿐 아니라 허술한 코인 상장 절차, 소비자에게 불리한 수수료 징수, 거래소의 시세조종 연루 의혹 등이 다양하게 거론됐다. 테라·루나의 ‘99% 폭락’이나 아로와나토큰의 ‘10만% 폭등’ 사건을 거치면서 시장의 투명성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최근 국내 5대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가 공통된 상장 심사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해외 암호화폐 백서의 번역본을 제공하는 등 업계 내부의 노력에도 진전이 있었다. “제도를 갖춰 주면 성실히 따르겠다”는 암호화폐 기업들의 요청에도 금융당국의 답변은 이전과 큰 차이가 없다. “아직 법적 근거가 없어 당국이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다.”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이재명 후보 모두 가상자산 법제화를 공약하고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한쪽은 대통령, 한쪽은 원내 1당 대표가 됐는데 요즘 그 얘기는 나오질 않는다. 코인 투자가 대중의 관심권에서 멀어졌으니 예상했던 일이긴 하다. 하지만 제대로 된 규제를 설계해 투자자를 보호하겠다는 그 약속이 진심이었다면 지금 같은 ‘크립토 윈터’ 시기에 오히려 속도를 내야 한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시장이 죽었을 땐 손 놓고 있다가 불이 붙고 나서야 또다시 규제한다고 나서면 그땐 ‘코인러’ 눈치 보느라 더 힘들어진다. 그게 불과 3~4년 전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