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중·일, '아시아 패러독스' 극복하고 더 큰 그림 그려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리커창 중국 총리가 어제 제6차 한·중·일(공식 명칭은 한·일·중) 정상회의를 가졌다. 2012년 5월 이후 3년 반 만이자, 3국 정상이 모두 바뀐 이후엔 처음이다. 그동안 꼬일 대로 꼬인 관계를 감안하면 동북아 3국 정상이 한 테이블에 앉은 것만도 환영할 일이다. 비정상적 관계를 정상화하는 이정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동북아는 15억명이 사는 세계 3대 경제권이다. 박 대통령의 말마따나 ‘세계 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지역이다. 동북아에서 서로 골목대장 노릇이나 하는 식의 갈등으로 인해 협력을 통한 무한한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킨 것은 모두에게 손실이었다. 오죽하면 경제적으론 상호의존이 심화되는데 정치·외교 갈등이 증폭되는 ‘아시아 패러독스’란 말이 나왔을까 싶다. 공동선언문에서 3국 간 협력을 제도화하고 정상회의를 정례화하기로 한 것은 늦었지만 다행이다. 서로 자주 만나야 신뢰도 쌓이고 협력도 가능하지 않겠나.
물론 넘어야 할 산이 한둘이 아니다. 과거사, 영토분쟁에다 최근 남중국해 긴장까지 지정학적 갈등이 활화산 같다. 언제든 서로 등을 돌릴 수도 있는 문제들이다. 리 총리가 “3국 협력은 역사를 비롯한 민감한 문제를 처리하는 토대 위에서 이뤄지는 것”이라고 뼈 있는 발언을 한 것도 그런 맥락이다. 하지만 이런 난제들을 푸는 것도 바로 3국의 몫이다. 과거사는 과거사이고, 국익은 국익이다. 3국 정상은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도 가속화하기로 합의했다. 이왕이면 경제공동체와 같은 더 큰 그림으로 발상의 전환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역사를 직시하며 미래로 나아가자. 이웃은 바꿀 수 있어도 이웃 나라를 바꿀 순 없지 않은가.
동북아는 15억명이 사는 세계 3대 경제권이다. 박 대통령의 말마따나 ‘세계 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지역이다. 동북아에서 서로 골목대장 노릇이나 하는 식의 갈등으로 인해 협력을 통한 무한한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킨 것은 모두에게 손실이었다. 오죽하면 경제적으론 상호의존이 심화되는데 정치·외교 갈등이 증폭되는 ‘아시아 패러독스’란 말이 나왔을까 싶다. 공동선언문에서 3국 간 협력을 제도화하고 정상회의를 정례화하기로 한 것은 늦었지만 다행이다. 서로 자주 만나야 신뢰도 쌓이고 협력도 가능하지 않겠나.
물론 넘어야 할 산이 한둘이 아니다. 과거사, 영토분쟁에다 최근 남중국해 긴장까지 지정학적 갈등이 활화산 같다. 언제든 서로 등을 돌릴 수도 있는 문제들이다. 리 총리가 “3국 협력은 역사를 비롯한 민감한 문제를 처리하는 토대 위에서 이뤄지는 것”이라고 뼈 있는 발언을 한 것도 그런 맥락이다. 하지만 이런 난제들을 푸는 것도 바로 3국의 몫이다. 과거사는 과거사이고, 국익은 국익이다. 3국 정상은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도 가속화하기로 합의했다. 이왕이면 경제공동체와 같은 더 큰 그림으로 발상의 전환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역사를 직시하며 미래로 나아가자. 이웃은 바꿀 수 있어도 이웃 나라를 바꿀 순 없지 않은가.